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키워가며 중심으로 자리를 옮기는 것은 아닐까.2002년 9월 17일 미국 우주망원경과학
연구소
는 전혀 뜻하지 않은 곳에서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다름아닌 구상성단 중심부에서, 게다가 별 질량의 블랙홀과 거대블랙홀의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블랙홀이 관측됐던 것이다. 지구로부터 3만2천광년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해를 가지지 않을 때 그 방정식은 불능이라 한다 세계적으로 뱀 연구로 유명한 브라질의
연구소
1901년 상파울루 교외 9km 지점에 연구실과 박물관 · 부속병원이 300ha의 넓은 대지에 건설되었다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분광측정이라고도 한다빛의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광촉매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중이다.최근 일본 산업기술종합
연구소
(AIST)가 가시광선을 쬔 물에서 수소-산소 분해를 일으키는 새로운 광촉매를 찾아냈다고 발표해 크게 화제가 됐다. 일본 연구팀은 인듐탄탈레이트라는 물질에 니켈을 섞은 광촉매 0.5g을 2백 50ml의 물에 넣어 ... ...
블랙홀이 태양계를 삼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내용은 은하중심에 있는 거대블랙홀과 관련된 연구결과다. 독일 막스 플랑크 우주물리
연구소
의 구엔터 하싱거 박사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찬드라 X선망원경으로 보기 드물게 밝은 은하 NGC6240의 중심핵에서 거대한 블랙홀을 두개나 발견했던 것. 보통 은하핵에 존재하는 거대블랙홀은 주변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분열만 하도록 계속 키운 줄기세포 덩어리를 말한다.지난 10월 31일 박 박사는 이
연구소
의 이영재 박사와 함께 “도파민 생성에 관여하는 2개의 유전자를 인간 배아 줄기세포에 삽입해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를 만드는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또 이렇게 유전자 조작된 배아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쉽지 않다. 게놈에서 피지옴까지최근 바이오인포매틱스가 눈에 두드러지고, 기업이나
연구소
에서 관련 인력 확보에 나선 이유는 쏟아지는 게놈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여기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점은 바이오인포매틱스의 관심사는 게놈 한가지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우주추진기관연구실장1997년 한국항공우주
연구소
KSR-Ⅲ 사업단장1998년 한국항공우주
연구소
우주기반기술연구부장2000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부장2001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연구개발위원회 ... ...
스페인 침몰 유조선 기름 제거 작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공전하고 있다 백조자리 61번성은 1792년 당시부터 주목되었다 1976년 소련의 드브나 원자핵
연구소
의 유(Yu), 오가네시안 등이 발견해 보고한 초우라늄 원소 밴도르프의 식 1872~1970 영국의 철학자·논리학자 수학자 G 페아노, G 프레게의 업적에 자극을 받아 새로운 수리논리학(數理論理學)을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있으며, 한양대와 숙명여대 겸임교수로서 관련 교육과정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연구소
는 이미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솔루션 5가지를 개발해 출시했으며, 이 중 게놈서열 자동 주석시스템은 일본 국립동경농공대에 수출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서울대 생명과학부 생물정보학 협동과정 천종식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김치아이)의 게놈지도 초안이 최근 완성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서울대 미생물
연구소
는 마이크로비아와 공동으로 루코노스톡 김치 아이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99% 이상 판독했다고 밝혔다. 향후 전체 염기서열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배열하는 보완작업을 거쳐 김치게놈지도가 완성되면 발효과정을 ... ...
이전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