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광주기를 인식해 꽃피는 시기를 결정한다는 사실은 1920년 미국 메릴랜드 소재 농무성
연구소
의 가너 박사와 앨러드 박사에 의해 밝혀졌다. 이들은 담배를 연구하던 중 온실 안에서 꽃을 피우지 못하고 무한정 자라는 담배 돌연변이체를 우연히 발견했다. 씨도 맺지 못하는 불량 담배종이라고 판단한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영과 잠수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이는 펭귄에게는 숨겨진 비밀이 있다.일본 국립극지
연구소
의 가쓰푸미 사토 박사 연구팀은, 펭귄이 잠수할 때는 날개를 펄럭이면서 빠르게 내려가지만, 물 위로 올라올 때는 날개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부력에 의지해 비스듬한 각도로 천천히 올라온다고 200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순순히 자백을 얻어낸다.이같이 검시가 제대로 되려면 법의학자나 국립과학수사
연구소
의 법의관이 반드시 현장에 가서 시체가 놓여있는 상태와 주위환경을 살피고, 법의학적 조사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히카루 검시관이 매번 직접 ... ...
2. 포탄 공격에도 끄떡없는 고성능 장갑차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용한 고강도 나노복합소재 개발을 살펴보자.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 일본 NEC사의
연구소
에서 최초로 발견된 신물질로, 강도가 고강도 철강소재의 20-50배, 전기전도도가 구리의 1.7-17배에 달하는 등 매우 특이한 소재다. 이 외에도 우수한 전자 차폐 기능과 반도체 특성을 갖고 있어 앞으로 활용 ... ...
패스트푸드점 단골 X 신드롬 주의해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2003년 1월 18일 영국 BBC방송은 뉴질랜드 의학
연구소
의 리처드 비슬리 박사가 ‘e혈전’의 첫번째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고 보도했다. 비슬리 박사는 하루 12시간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 외에 혈전과 관련이 전혀 없는 32세 남성의 사례를 ‘유럽호흡기’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때문에 뜻하지 않게 암에 쉽게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한편 가톨릭대 세포유전자치료
연구소
오일환 소장은 안전성 문제 외에도 인간배아복제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는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 볼 때 인간배아복제 실험이 성공하려면 최소한 5백개의 난자가 필요하다”며 “여성 ...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길을 제시해주고 멘티가 올바른 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멘토로 활동한 한국통신
연구소
의 임태수 연구원은 3개월 동안의 자문 활동을 마무리하면서 나름대로 보람과 아쉬움을 함께 표현했다. 고등학교 1학년생이 멘티였던 임태수 연구원은 “활동 기간이 짧아 공학적 마인드를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포유류가 여기에 속한다.미국 캘리포니아대 마크 스프링거 교수팀과 미국 국립암
연구소
스테펜 오브리언 박사팀은 미토콘드리아 및 세포핵 유전자의 DNA 염기 서열을 비교해 태반 포유류를 4개군으로 분류했다. 이에 따르면 원시 포유류는 처음 파충류에서 갈라져 나온 뒤 1억4백년에서 6천4백만 년전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복제돼지도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합작품이다. 강원대 수의학과 정희태 교수, 축산기술
연구소
임기순 박사, 미주리대 연구원 박광욱 박사 등 한국 과학자 3명과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 바이오벤처기업 이머지 바이오 세러퓨틱스사 연구팀은 2001년 처음으로 장기이식용 돼지를 복제하는데 성공했다. ... ...
자식의 수명은 어머니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특정 돌연변이를 5배 더 많이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기술
연구소
’의 주세페 아타르디 박사 연구팀은 99세-1백6세 노인의 약 17%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중 1백50번째 염기서열이 시토신(C)에서 티민(T)으로 바뀌는 ‘점 돌연변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60-7 ... ...
이전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