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복제돼지도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합작품이다. 강원대 수의학과 정희태 교수, 축산기술연구소 임기순 박사, 미주리대 연구원 박광욱 박사 등 한국 과학자 3명과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 바이오벤처기업 이머지 바이오 세러퓨틱스사 연구팀은 2001년 처음으로 장기이식용 돼지를 복제하는데 성공했다. ... ...
- 이공계 위기를 열기로 바꾸는 과학 전도사과학동아 l2003년 03호
- 길을 제시해주고 멘티가 올바른 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멘토로 활동한 한국통신연구소의 임태수 연구원은 3개월 동안의 자문 활동을 마무리하면서 나름대로 보람과 아쉬움을 함께 표현했다. 고등학교 1학년생이 멘티였던 임태수 연구원은 “활동 기간이 짧아 공학적 마인드를 ...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시제품만 내놓고 있을 뿐 아직 완제품은 나와 있지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 개발에 성공, 양산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메가D램은 9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 ...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과학동아 l2003년 03호
- 않는 단위물질로 구성됐을 것이다.1997년 10월 16일자 ‘네이처’에 실린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가디리 박사팀의 연구를 보면 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자기 복제 가능한 아미노산 사슬인 펩티드 라가제가 등장한다. 이것이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얼마나 될까. 먼저 20종류의 아미노산에서 하나를 ...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우주대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존 헌터가 진행한 이 연구는 HARP의 계승자라는 뜻에서 ‘슈퍼 고고도 연구프로젝트’(SHARP)로 명명됐다. SHARP에 사용되는 대포는 최대 길이 82m에 폭약이 아닌 가스로 추진됐고, 1992년부터 개시된 ...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성공했던 로빈 캔업 박사의 시뮬레이션이 돋보였다. 하지만 미국 사우스웨스트 연구소의 캔업 박사가 수행한 초창기 시뮬레이션에는 문제가 있었다. 대충돌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부스러기가 지구에 떨어지거나 우주공간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충돌체의 크기가 처음 예상(화성 크기)보다 2-3배는 커야 ...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굳힐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사업단은 현재 전체 26개 기관에 이르는 대학, 기업체, 연구소를 하나로 아우르며 40여개의 세부 연구 과제에 대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업단에 참여하는 전체 인원은 무려 6백58명. 각각의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들이 하나의 목표로 화합하면서 ... ...
- 섹시한 냄새의 비밀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컴퓨터와 대화하고 컴퓨터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시스팀이다미국의 벨(Bell)연구소가 미니컴퓨터용으로 개발한 회화형 오퍼레이팅 시스팀 오퍼레이팅 시스팀(operating system: OS)은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수법과 순서를 모은 소프트웨어체계이다 UNIX는 C언어로 쓰였으며 사용하기 ...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초콜릿의 향정신성 성분은 아나다마이드(anandamide)다. 미 샌디에고에 위치한 신경과학연구소의 다니엘 피오멜리 박사는 초콜릿의 성분 중 하나인 아나다마이드가 대마초를 흡입했을 때 느끼는 행복감을 일으키는 대뇌의 수용체와 결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약의 일종인 대마초의 주성분은 ...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박테리아 게놈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미 국립 북서태평양 연구소의 왕백충 박사는 지난 1월 3일 ‘뉴사이언티스트’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특정 메시지를 인공DNA 형태로 만들어 박테리아 게놈에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왕 박사는 “박테리아는 핵전쟁과 같은 ... ...
이전448449450451452453454455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