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같이 전력 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기업을 설립했지요. 그는 남들이 만든 발명품을 실제로
사람
들이 쓸 수 있게 만든 ‘사업가’에 더 가까운 인물이었답니다 ... ...
Part 1. 평창 동계 올림픽, 과학 올림픽이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올림픽을 즐길 수 있게 됐지요. 이후에도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에서는 늘 더 많은
사람
들이 올림픽을 즐길 수 있도록 새로운 과학기술을 준비하고 있답니다. 이번 평창 동계 올림픽도 마찬가지예요. 조직위원회는 ‘ICT 올림픽’이라는 별칭을 내세우며 올림픽 기간 동안 5G 이동통신, 가상현실(VR)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학습’을 하고 그 결과 ‘조건반사’ 반응을 보인 거예요. 조건반사는 개뿐만 아니라
사람
을 비롯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흔히 일어나는 행동이에요. 앞으로 닥쳐올 일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나타나는 현상이지요. 예를 들어 쥐에 대한 무서운 경험이 있는 친구라면 ‘찍찍’ 소리만 들어도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체벌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이런 경험이 반복되면 개는 똥과 오줌을 오랫동안 참거나
사람
이 보지 못하는 장소를 찾아 배변할 수도 있어요. 심지어는 자신의 대변을 먹어버리는 행동까지 할 수 있답니다. 가장 효과적인 훈련법은 개가 올바른 장소에 배변을 할 때 칭찬해 주는 거예요. 이때 큰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중국에서 책 한 권이 들어오면 손으로 베껴 써서 돌려봤습니다. 이 책을 보는
사람
이 많지 않는 한 지방까지 전해지지 않지요. 또 조선에 들어온 중국 수학책에는 문제와 답만 있을 뿐 풀이 과정이 모두 생략돼 있습니다. 그런데 ‘산학원본’에는 어려운 문제도 풀이가 자세히 담겨 있었습니다. 1 ... ...
작심삼일, 네 탓이 아니야!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스스로를 돛대에 묶어놓은 덕분에 섬을 무사히 통과한다. 사실 세이렌은 뱃
사람
을 섬으로 유혹해 끌어들일 뿐 아니라 잡아먹어 버리는 무시무시한 종족이다. 자제력이 부족했다면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에게 잡아 먹혀 영영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을 것이다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빨리 채널을 돌리고 싶은 지루한 시간일 겁니다. 그런데 평소 축구가 싫다고 말하는
사람
도 경기장에 가면 재밌답니다. 그건 축구장을 지을 때 수학을 이용해서가 아닐까요? 한 번이라도 축구장에 가서 축구 경기를 본적이 있나요? 카메라를 통해 보는 경기와 실제 경기장에서 보는 경기는 엄청난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불균형 상태에서는 교통 체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출근 시간에 부천에서 지하철을 탄
사람
은 사무구역이 나타날 때까지 지하철에서 내리지 않을 테니까요. 아침마다 1호선이 미어터지는 이유입니다. 저 같은 게이머의 속이 터지는 이유기도 하고요. 기록 올리는 만능 해답 있을까2014년 12월,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신체 기능을 지닌 선수에게 이익을 주는 점수 제도도 마련했다. 바둑이 급수가 낮은
사람
에게 돌을 몇 개 먼저 올리도록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크로스컨트리 스키 시각장애 부문의 예를 보자. 모든 선수는 위 분류 중 하나에 속한다. 만약 B2에 속한 ‘김우현(가명)’이라는 선수가 50분 만에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않기 때문에 눈으로는 볼 수 없다. 우주에 암흑물질이 있어야 한다고 최초로 주장한
사람
은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다. 1933년 츠비키는 지구에서 약 3억 2100만 광년★ 떨어진 머리털자리 은하단을 관측하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은하들이 움직이는 속도가 너무 빨랐던 것이다. 광년★ ... ...
이전
450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