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될 수 있다니, 앞으로 실현될 우주여행이 더욱 기대됩니다. 하지만 그 전에 반드시 많은 사람과 짐을 태울 수 있는 초대형 로켓이 필요하겠죠~. 말씀드리는 순간,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이 발사됐다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 ‘팰컨 헤비’지난 2월 6일,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또한 캡사이신이 든 음식을 약 43도 이상으로 데우면 온도에 비례해 더 맵게 느낀다. 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포유류가 TRPV1을 갖고 있다. 그래서 매운맛 분자를 가진 식물을 주식으로 삼지 못한다. 하지만 태국 앵무, 카나리아 등 일부 조류는 열과 압력을 감지하는 수용체의 구조가 TRPV1과 다르다.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부분 입이나 목, 주변을 바라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팀은 에버와 대화하는 사람이 최대한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대화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있다. 이 그룹장은 “가을에는 에버에 대화용 AI를 탑재해서 인간과 에버의 대화를 시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공동 연구를 통해 AR 수술 내비게이션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이미 동물 뼈와 사람의 사체에 적용한 실험에서 임상시험에 도입해도 될 수준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연구진은 숨을 쉬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체내 상태에 따른 오차를 교정하는 작업을 거친 뒤 조만간 ... ...
- Intro. 뇌 유전자 호르몬, 요즘 사춘기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하지만 사춘기 자녀와 매일 부딪히는 부모에게 이 시기는 어둡고 긴 터널 같다. 사춘기는 사람마다 겪는 시기가 다르고, 반응 방식도 다르다. 최근 과학계가 사춘기에 주목하면서 사춘기에 관한 과학적 이론이 정립되고 있다. 누구나 겪은, 누군가 겪고 있는, 누군가는 겪을 사춘기에 관한 과학적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중매체(53.6%)와 동성애자 연예인(19.3%)을 통해 동성애에 대해 인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의 발달 단계에서 젠더를 인식하는 시기는 두 번이다. 바로 유아기와 사춘기다. 3~5세 유아기에는 자신의 성별이 부모 중 어느 쪽과 일치하는지 인식한다. 이때 성별과 함께 그 역할도 학습한다. 남자 ...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비하인드 스토리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미국, 루마니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눴어요. 강지원 : 가위바위보에서 진 사람이 외국인 친구에게 가서 말을 걸기로 했는데, 계속 승재가 걸렸거든요. 저랑 홍녕이는 뒤에서 지켜만 봤답니다. Q. 소문에 듣자하니 시험장에서 종이접기를 한 분이 있다던데…. 김홍녕 : 둘째 날은 시간이 조금 ... ...
- [DJ CHO의 롤링수톤]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팬들은 허무하게도 영원히 잭슨과 이별하게 됩니다. 잭슨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인종 간의 음악 장벽을 부수어 없앴으며, 듣는 음악의 시대에서 보는 음악의 시대를 연 인물이기 때문이지요. 이런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마이클 잭슨이야말로 음악으로 인종 ... ...
- Part 4. 내 몸에 딱 맞는 인공지능 맞춤식단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알아냅니다. 데이터가 쌓이면 지역에 따라 올라온 조리법을 분석해 지역별로 사람들의 식습관과 건강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질병 치료와 예방에 최적화된 음식을 알려줄 거예요. 건강 상태에 따라몸에 좋은 음식과 조리법까지 추천해 주는 기능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인공지능 ...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만큼 여러 전문가와의 협업이 중요해요. 수리 모델을 그림이나 영상으로 나타내 주는 사람이 필요하고, 결과를 해석하려면 생물학자나 의사도 필요하지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고, 다양한 분야와 협업이 활발해지면 수학을 이용해 불치병도 치료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관련기사를 ... ...
이전4494504514524534544554564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