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지구를 향한 발칙한 상상, 지구가 둥글지 않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둥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지구는 왜 둥글까? 또는 지구가 다른 모양이라면 우리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엉뚱한 상상! 만약 지구가 도넛 모양이라면?인공위성으로 지구를 찍을 수 없었던 아주 오래전 사람, 또는 음모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구가 공 모양이 아닌 편평한 원반 또는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클리퍼드의 모험은 태양계를 벗어나 아주 먼 곳까지 이어진다.여기서 아주 멀다는 건 우리가 평소에 아주 멀다고 할 때와는 차원이 다르다. 1g로 우주선을 계속 가속하면 속도는 점점 빨라지겠지만, 빛의 속도를 넘을 수는 없다. 그리고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조차도 빛의 속도로 몇 년은 가야 하는 ...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떨어진 곳에 사는 돌고래끼리는 의사소통이 어렵다는 점도 발견했어요.우리나라 사람은 우리말, 미국 사람은 영어를 쓰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역에 따라 언어가 다르기 때문인데요. 더욱 재미난 사실은 그 중간 지역에서 살고 있는 돌고래는 두 지역의 돌고래와 의사소통이 가능해서, 통역을 하듯이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싶었습니다. 달콤한 맛이 느껴지는 다양한 수학이 있다는 것, 더불어 수학이라는 학문이 우리의 삶 속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그런 고민 끝에 교내 수학대회를 다양한 융합대회로 확장했고, 여러 가지 수학 문화 체험활동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학생들은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계획이라고 밝혔다.미국 UC데이비스 파브로 로스 교수는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물론 우리는 이것이 사람의 뇌로 자라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생각하지만, 반드시 조사해 봐야 할 부분”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박정규 교수 역시 “기초연구가 좀 더 진행되고,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사회적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발해 다큐멘터리를 보듯 흥미롭다. 예를 들어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에 대한 힌트는 우리나라 전통배의 돛에서 얻는다. 마주 오는 바람이 불 때 돛을 풍향에 수평하게 돌리고 활대를 둥글게 만드는 운항법을 보고(비행기 날개가 양력을 얻는 방식과 비슷하다) 항공기 날개를 복원하는 식이다. 책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포소기관의 하나인 미토콘드리아에서 나온다.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 내는 에너지로 우리는 존재한다. 최근에는 진화와 질병 치료에서도 미토콘드리아가 활약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연구의 최전선을 살펴보고,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탐색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긴 터널 속에서그 원리를 깨쳤다.지구상에는 수많은 동물과 식물, 미생물들이 있다. 우리는 이들의 겉모습만 보고 존재의 가치를 쉽게 판단한다. 하지만 그들의 현재 모습은 아이아이처럼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속의 박테리아 외막에 붙어있는 단백질로, 영하 5°C에서도 물이 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리가 접하는 물은 먼지나 꽃가루 등 이물질이 포함된 물로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 쉽게 얼지만, 이물질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순수한 물은 영하 38°C가 돼야 얼기 시작한다. 이물질이 일종의 구심점 역할을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구를 기준으로 보자면 포에베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세균은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아는 미생물은 지구로만 한정해도 전체 미생물의 1% 밖에 안됩니다. 가능성은 직 남아 있는 셈입니다. 이번 화는 아쉽게도 소설의 설정을 완벽하게 반박하지는 못했네요. 언젠가 지구인들이 행성을 활발하게 ... ...
이전4414424434444454464474484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