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따라 바다로 흘러가게 된답니다.지난 2015년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관리공단에서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쓰레기를 분석해 봤어요. 그 결과 플라스틱과 종이, 고무, 담배꽁초, 옷 등 도시에서 만들어진 쓰레기가 전체의 90%를 차지했답니다.바다의 흐름이 섬을 만들다바다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볼록렌즈를 통과한 빛은 한점으로 모이는 초점을 지난 뒤, 다시 퍼지게 돼요. 이 지점에 우리가 보는 상이 맺히기 때문에 거꾸로 된 작은 상을 보게 된답니다.볼록렌즈를 사용해 멀리 있는 것을 크게 보여주는 굴절망원경에는 물체에서 나온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대물렌즈와, 모인 빛을 꺾이도록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주홍, 빨강, 회색, 하양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어쩌면 어려서부터 물감을 보고 색을 배운 우리보다 자연에서 색을 배운 그들이 알고 있는 색의 개수는 훨씬 적을지라도, 사물이 가지고 있는 정확한 색을 인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무엇일까요?”“음…. 앵무조개요? 아니, 지금 이 상황에 수수께끼라니요!”“지금 우리는 앵무조개 몸속에 들어와 있는 거예요.”“네?!”입구에 있던 나뭇가지 모양의 돌기들은 앵무조개의 촉수였고, 나선 모양으로 말려있는 관에서 공명이 일어나 파도소리가 들렸던 것이다. 진주 광택은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높은 10 명을 무대로 불러내 대결을 펼쳤다.해킹 학회 본연의 임무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우리는 일부러 배지가 원격으로 해킹될 수 있게 만들었다. 만약 이 약점을 알면 다른 사람의 배지에 원하는 메시지를 맘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번 김치콘에서 사물인터넷(IoT) 보안과 관련된 발표가 많았는데,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은유를 종종 쓰긴 했다. 그러나 이는 그저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구였다. 다행히 우리는 도킨스 덕분에 명료한 ‘유전자의 눈’ 관점을 얻게 되었다. 이 관점을 마음껏 적용해서 해밀턴의 규칙을 파헤쳐보자. 어떤 조건에서 이타성이 선택되는가해밀턴의 규칙은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캐 사람의 마음을 숫자와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군요. 바이오피드백에도 종류가 많은데 우리 선수들은 어떤 걸 주로 사용하나요?해 양궁팀에서는 바이오피드백 중 하나인 뉴로피드백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뇌의 전기적 활동(EEG)을 활용해 뇌파의 변화를 파악하고 뇌기능을 변화시키는 훈련입니다.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말했다.‘선생님’이 도대체 누구예요?민 교수를 인터뷰하면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우리 선생님’이었다. 그 선생님의 정체는 미국 칼텍 석좌교수였던 고(故) 시모어 벤저. 벤저 교수는 생체리듬이라는 개념을 처음 만들었고, 이 외에도 초파리를 이용한 학습과 기억, 노화에 대한 연구를 ... ...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렇게 우리 주변의 생물들을 탐사하고 멸종위기종을 보전하기 위해 힘을 보탠다면, 우리 주변에서 사라져 가는 생물들을 더욱 많이 볼 수 있게 되겠죠? 올해 지사탐 활동이 벌써부터 기대되는 이유랍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건전지 없이 전구에 불 켜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 과정에서 전기가 흐른답니다.제안 독자 : 배준형, 박은혜, 이런 우라늄 쌍화차, david8553우리가 쓰는 건전지의 시초는 1800년 이탈리아 과학자 볼타가 만든 ‘볼타전지’다. 볼타는 동물이 전기를 만들어낸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하다가 금속을 혀의 위와 아래에 놓았을 때 전기가 찌릿하고 ... ...
이전4384394404414424434444454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