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때문입니다. 이런 프랙털의 오묘한 매력에 빠져 프랙털을 이용해 예술 작품을 만드는
사람
도 있습니다. ‘프랙털 아티스트’로 활동 중인 박보석 한성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규칙이 있는 프랙털에 매료돼 프랙털 예술을 시작했습니다. 같은 모습을 반복해서 ... ...
[과학뉴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실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바 없다. 이나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정보연구부장은 “농도가 10ppm만 돼도
사람
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쓴맛이 난다”며 “게임팩에 의한 질식 등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더 큰 위험을 막기 위해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농도를 낮춰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부장은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등 여러 가지 성공 요인이 여기저기서 분석되고 있지만 이 모든 BTS 현상은 역시 ‘
사람
’과 ‘일하는 방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즉 재능 있는 밀레니얼세대 멤버들과 이들의 재능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조직을 운영하고 지원한 기성세대의 조직 육성 방식 사이의 협업에도 조명이 비쳐야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1대 1로 통신하는 경우에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 군에서도 여러
사람
이 동시에 통화하면서 회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존 보안기술로는 암호화된 상태에서 이들의 메시지를 합친 뒤 각자에게 전송하기가 어렵다. 그렇게 하려면 일단 서버에서 암호를 푼 뒤 내용을 합치고, 이를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팽창하고 있다는 이론이다. 지금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이지만, 처음부터
사람
들이 빅뱅 우주론을 받아들인 건 아니었다. 빅뱅 우주론이 인정받게 된 결정적인 계기 중 하나는 최근 세상을 떠난 스티븐 호킹 박사의 ‘특이점 정리’다. 천문학자들은 물리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 ...
제20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것이다. 실생활뿐만 아니라 과학,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
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재미있는 주제를 선정해 보자. 주제를 정했으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관련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직접 설문 조사나 실험을 하거나, 통계청 및 국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 ...
[과학뉴스] 날씬한 체질? 유전자가 정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약 20%에서 FGF21이 열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프레일링 교수는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사람
마다 체질이 다른 유전학적 원인을 발견한 것”이라며 “앞으로 FGF21이 체지방량을 변화시키는 정확한 메커니즘을 규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 10.1016/j.celrep.2018.03.07 ... ...
[과학뉴스] 헬멧처럼 머리에 쓰는 웨어러블 뇌자도 측정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없었다. 브룩스 교수는 “유아나 어린이, 장애인 등 기존 장비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람
들의 뇌파 측정이 가능하다”며 “머리 움직임에 제약이 없는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뇌자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doi:10.1038/nature2614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언어 음성인식기술은 현재 ‘말랑말랑지니톡’ 앱으로 상용화됐다. 이 기술의 핵심은
사람
의 신경망을 모방해 스스로 언어를 학습하는 인공신경망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 AI가 새로운 언어를 학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3일 정도”라고 말했다. 말랑말랑지니톡 앱은 자동통역 기술도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길로 우회하는 등 사고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차가 볼 수 없는 범위에 있는 위험물체나
사람
에 대한 정보도 도로 정보를 취합하는 관제소를 통해 받을 수 있다. 김 박사는 “5G V2X 기술이 있으면 신호등도 필요 없고, 사고 위험도 현저히 줄어들 것”이라며 “현재는 5G 통신 규약을 정하고 있는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