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긴급! 현장으로 출동하라, 재난&군사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특히 정찰하는 용도로 적합하지요. 들키지 않고 많은 정보를 캐내는 데는 큰 정찰기나 사람보다 다수의 소형 로봇이 훨씬 유리하답니다. 최근 미국에서는 단순히 로봇끼리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군인들과 함께 움직이는 군집드론을 개발하고 있어요. 지난해 10월, 미국 국방부 산하 ...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성분인데, 타이어가 타는듯한 고약한 냄새를 풍기지. 이 항문선이 항문 옆에 있다 보니 사람들은 내가 방귀를 뀌어서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고 생각한 거야. 하지만 우리는 위협을 느낀 순간 방어하기 위해 항문선에서 액체를 뿜어내는 것 뿐이란다. 방귀로 두꺼비를 탈출한다?!지난 2월 7일, 일본 ... ...
- [과학뉴스] 피부에 바로 인쇄하는 3D 프린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맥알파인 미국 미네소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살아 있는 사람의 손에 인쇄할 수 있는 맞춤형 3D프린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400달러(약 43만 원)가 안 되는 저렴한 3D프린터를 개조했다. 기존 3D프린터는 약 100도에서 잉크를 사용해야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르다. 라돈이 주로 방출하는 알파선은 얇은 종이조차 투과하지 못할 정도로 약하다. 사람의 피부 역시 투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피폭 위험이 거의 없다. 하지만 라돈이 호흡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오면 폐의 상피세포에 달라붙는다. 아무리 투과력이 약한 알파선이라도 10나노미터(nm₩1nm는 1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진을 관측하기 위해 설치해 둔 지진계에서만 관측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최근 석유와 셰일가스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이런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땅속에 유체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석유와 셰일가스의 생산성을 높이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방출하는 방사선(감마선)이 다른 방사성 물질에 비해 외부를 피폭시킬 가능성이 작다. 사람이 직접 현장에 들어가 해체 작업(제염, 철거 등)을 하기가 쉽다. 서 부장은 “한국은 이미 우라늄 변환시설을 해체한 경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은 2001~2011년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하면 스위스와 프랑스의 국경지대 지하에 설치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있지만, 방식과 목적에서 차이가 있다. LHC는 둘레가 27km에 이르는 원형가속기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양성자를 쏴서 가속시키다가 두 양성자를 충돌시켰을 때 나타나는 반응을 연구한다. 이때 원자핵을 ... ...
- [Issue] ‘한반도 훈풍’에 환율 하락 기업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한국 사람들은, 특히 주식투자자가 아니라 할지라도, 경제와 환율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지닐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어떻게 경기가 갑작스럽게 좋아지고 또 나빠지는지 이해하면 상급학교 진학이나 혹은 창업 같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사이언스 잼버리’에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 캠프는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신과람)이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교육원의 후원으로 진행됩니다. 사이언스 잼버리는 자신의 학교에서 준비한 과학 활동을 발표하는 동시에 다른 학교가 준비한 과학 활동에도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횔러 박사가 공개한 633개입니다. χ는 과연 얼마일까요? 5, 6, 7? 과연 또 누가 이 문제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지 궁금합니다. 누구든 도전하면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아이디어로 χ<7이나 χ>5를 증명할 수 있지 않을까요?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 ...
이전43743843944044144244344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