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석좌교수다. 내시 교수와 니렌버그 교수는 20세기를 빛낸 수학계의 거장이다. 두 사람 모두 지금까지 수학계에서 권위 있는 상을 여러 차례 받았다. 내시 교수는 게임 이론의 표준이 된 ‘내시 균형 이론’으로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기도 했다. 정신분열증을 앓는 천재 수학자를 다룬 영화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치명적인 매력, E=mc²우리가 고기를 구워 먹고 컴퓨터로 게임을 할 수 있는 건 모두 E=mc² 덕분입니다. 시작은 태양입니다. 압력과 온도가 매우 높은 태양 안에서는 수소 원자 4개가 결합해 헬륨 원자 하나로 변하는 일이 반복됩니다. 이때 남은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면서 태양은 빛이 납니다.태양빛은 ... ...
- [생활] 도전과 재미가 무한대로 발산한다 용인외대부고 큐이디(Q.E.D.)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만드는 모든 과정을 어른의 도움 없이 해 나가는 데 어려움은 없을까?“친구들의 기사를 모두 모아 정리하고 디자인하는 일을 올해 처음 해봐서 어려웠지만 수학자를 꿈꾸는 만큼 동아리 활동을 하며 얻는 것이 많아요. 그래서 별로 힘들다는 느낌이 없어요.” _2학년 유수민 친구들과 함께하는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측정하는 방법이다. 전기신호가 약해 인식률이 떨어지지만 사용이 간편하다. 두 방법을 모두 연구해본 김성필 유니스트 디자인 및인간공학부 교수는 “둘 사이에 굉장한 수준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비침습형을 이용한 로봇이 동서남북 방향 정도밖에 못 움직이는 반면, 침습형은 임의의 각도와 ... ...
- [Hot Issue] 공룡 이전, 최상위 포식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물 속의 지배자, 메토포사우루스 알가르벤시스. 누가 더 강한지 알 수는 없지만, 두 종 모두 각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해 자신의 자리를 지켰습니다. 어쨌거나 최근 두 종이 세상에 공개되면서 공룡이 막 등장하기 시작한 트라이아스기에 지구를 주름잡던 최상위 포식자를 파악할 수 있게 됐습니다.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않기 때문에 ‘친환경(eco) 다이아몬드’라고도 불린다. 다이아몬드 수요는 많고, 이들을 모두 광산에서 얻을 수는 없기 때문에 합성 다이아몬드는 나름의 가치를 지닌다.문제는 합성이라고 명시되지 않은 다이아몬드가 천연 가격으로 불법 유통된다는 점이다. 다이아몬드 감별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개에 달합니다. 이들을 제대로 측정하려면 방향을 바꿔가며 각각 8번씩 측정해야 합니다. 모두 2만4000번이 넘게 측정을 했다는 뜻입니다. 8년이 걸린 대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결코 헛수고가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측정한 부재 하나하나는 고스란히 컴퓨터 3차원 모형이 됐습니다. 이 모형은 석재를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모두 앞의 다른 가설들보다 꽤 그럴듯하게 불규칙한 계절을 설명한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 큰 약점이 있다. 먼저 웨스테로스에는 태양이 두 개라는 이야기가 없다. 그래서 두 개의 별 중 하나를 관찰할 수 없는 갈색왜성이나 중성자별로 가정해야 한다. 보다 치명적인 약점은 이렇게 복잡한 형태로 ... ...
-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안 깊은 곳에서는 상하좌우에 어금니가 세 개씩 더 자라요. 그래서 성인이 되면 치아가 모두 32개가 된답니다. 그런데 영구치는 한번 빠지면 새 치아가 자라나지 않아요. 그래서 치아가 상하거나 부서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지요.충치가 심한 경우에는 상한 자리를 잘라내고, 그 구멍을 ...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아무도 알을 낳지 않은 습지에 알을 낳으면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수도 있지요. 두 곳 모두 위험요소가 뚜렷하게 있어요. 하지만 어찌됐건 산란을 해야 하니 그 중에서도 안전한 곳을 찾아야 하지요.북방산개구리를 관찰한 결과, 늦게 산란하는 개체 대부분이 다른 개체가 선호하지 않는 습지에 ... ...
이전4374384394404414424434444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