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중 가장 아름답고 놀라운 천체로 토성을 꼽아요. 아름다운 고리 덕분이죠. 레코드판처럼
두께
가 얇은 토성 고리는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지름이 27만 3600㎞나 돼요. 이 고리의 구성 물질은 대부분 물과 얼음이에요. 크기도 먼지만 한 것에서 자동차만 한 것까지 다양하답니다. 고리는 이탈리아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부력), 흔들려도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오는지(복원력) 실험해 본 거지요. 그 결과 32㎜
두께
의 철판을 씌워도 부력과 복원력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아무래도 철갑선인지 아닌지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 같소. 내 지금까지 다양한 문헌들을 조사했지만 거북선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검게 그을린 부분을 ‘용융각’이라고 불러요. 용융각은 사과 껍질처럼 1㎜ 이하의
두께
로 아주 얇지요. 용융각 속에 있는 부분은 전혀 녹지 않은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색을 띤답니다.속을 들여다보라!표면이 검다고 해서 모두 운석은 아니에요. 확실한 판별을 위해서는 운석을 잘라 자세히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먹어 열량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작은 동물일수록 몸
두께
가 얇아 금방 몸이 식어버리기 때문에 발산되는 열의 양이 많다. 따라서 더 많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실제로 크기가 10cm에 불과한 벌새의 경우 30초에 한 마리 꼴로 벌레를 잡아먹는다. 포유류 중에서 가장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엄청날 것이다. 현재 쓰이는 네모나고 딱딱한 배터리는 각종 스마트 기기의 크기와
두께
등 디자인을 제한해왔기 때문이다. 세상에 없던 유연한 배터리를 탑재할 미래형 스마트 기기는 지금은 아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모습으로 우리 앞에 찾아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들어간 식염수를 사용했다. 외부는 ‘폴리 무수물’이라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감쌌다.
두께
는 100μm 정도. 2.4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만든 고효율 배터리미국 MIT 재료공학과 앤젤라 벨커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효율이 최대 3배 좋은 리튬공기전지용 나노촉매를 만드는 데 ... ...
넌 컵으로 물마시니? 난 공기에서 빨아 마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성질(소수성)이 있는데, 이런 튜브 여러 개를 마치 땅에 나무를 심듯 세로로 고정시켜
두께
1cm 정도의 재료를 만들었다. 그런 뒤 재료의 위쪽 표면에 물을 끌어들이는 친수성 재료를 붙였다. 맨 위에서 친수성 재료가 공기 중의 습기를 끌어당기면, 물이 재료 내부의 소수성 탄소나노튜브 ‘숲’에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두르고 있다. 껍질의 가장 외곽 부분은 단단하게 언 상 태(얼음)이며, 15~30km 정도의
두께
일 것으로 예측되 고 있다. 이 밑에는 깊이가 80km나 되는 물의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계산을 바탕으로 과학자 들은 유로파에 지구보다 2~3배나 많은 물이 있다고 추 정하고 있다. 흔히 지구를 생명을 ... ...
암흑물질이 공룡 멸종시켰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하지만 랜들 교수팀은 페르미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은하면을 중심으로
두께
35광년의 밀도가 높은 암흑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로 세로 높이 1광년의 공간에 태양하나 질량의 암흑물질이 있는 밀도로, 혜성의 궤도를 바꾸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랜들 교수는 암흑물질 때문에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굴절률이 필요한 만큼 함께 올라가기 때문에 여전히 투명 기능이 살아 있는 거죠.” 그는
두께
0.5mm의 실리콘 고무로 만든 지름 10mm의 원통 여러 개를 세워서 이어 붙였다. 마치 구멍이 송송 뚫린 스폰지처럼 만든 것이다(위 사진). 10GHz 마이크로파로 새 망토를 실험한 결과, 성공이었다. 기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