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두께"(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를 이용하면 옆에 이어질 조각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두께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두께 별로 구분해 두면 비슷한 조각을 찾기 쉽습니다. 바닥 부분은 거칠기 때문에 금세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조각을 찾으면, 접착제를 이용해 연결합니다.함 연구사는 “신중하게, 그리고 나중에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모양은 길고 넓적하다. 긴 쪽의 길이가 1억 광년이고 짧은 쪽은 1000만~2000만 광년, 두께는 300만 광년 정도다. 이런 평평한 형태(Supergalactic Plane) 안에 전체 은하의 3분의 2가 모여있고, 나머지 3분의 1은 그 주위에 구 모양으로 퍼져있다. 실제로 밤하늘에서 바라보면 처녀자리, 머리털자리, 큰곰자리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무려 수심이 500m가 넘는 곳에도 설치할 수 있어요.또 다리를 만들면 구조물과 같은 두께의 기둥을 만들어 세우는 것보다 안전해요. 바닷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약 830배나 크기 때문에 한 번 움직일 때 그만큼 큰 힘이 작용해요. 커다란 기둥이 바다 한가운데 있으면 계속 파도에 부딪혀 충격을 받게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쉽죠.이렇게 얇은 분자층으로 분리되는 물질을 2차원물질이라고 불러요. 분자층의 두께가 수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정도로 아주 얇기 때문에 마치 평면처럼 보이죠. 수북히 쌓여 있는 종이 더미에서 종이 한두 장을 떼어낸다고 생각하면, 왜 그렇게 보이는지 알 수 있어요.사실 그동안 2차원물질은 ...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해상도는 2460ppi(1인치당 2460개의 화소)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두께도 머리카락 두께의 40분의 1 수준으로 매우 얇아 자유롭게 휘어진다. 향후 피부에 붙여 사용하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14일자에 실렸다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데도 도움이 된다. 정확한 계산을 하지 못해 과도하게 두꺼운 기둥을 쓰던 과거와 달리 두께를 최적화해 쓸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제작 장비로 정확하게 나무를 깎을 수 있다. 전문 기술이 없어도 쉽게 만들고 조립할 수 있다.이뿐만 아니라, 유지와 관리에도 유용하다. 한옥은 ‘고쳐 쓰는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보면 곡면이 뒤틀려서 반사되는 빛이 엉뚱한 방향으로 퍼지기 쉬워요. 그래서 수cm 두께로 얇게 만들지요. 하지만 이렇게 얇은 유리를 너무 크게 만들면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휘어질 수 있어요. 형태와 곡면 각도를 모두 유지하면서 만들 수 있는 주경의 최대 크기는 지름 8~9m랍니다. 그래서 E ... ...
- 쏟아지지 않는 핫초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쏟아지는 것을 막을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해 거품층의 두께에 따라 액체가 얼마나 흔들리는지 촬영했지요. 그 결과 거품이 컵의 옆면과 마찰하면서 담겨 있는 액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3mm 크기의 거품이 다섯 층만 있어도 액체의 진동을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500g이 넘었다. 이때 혜성처럼 등장한 것이 대우전자의 7420T다. 이 노트북은 무게와 두께를 기존의 절반으로 줄였고, 가격도 쌌다. 물량이 없어서 못 팔 정도로 불티나게 팔렸다. 7420T가 무게를 줄인 비법 중의 하나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뺀 것이다. 대신 전용 포트와 액세서리를 만들어 필요할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얇은 필름에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작은 센서를 붙여 만들었다.이 얇은 필름 센서의 두께는 2㎛에 불과해 대부분의 사물 표면에 붙일 수 있다. 특히 이 자기장 센서를 손바닥에 붙이고 다니면 몸 자체가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가 되기 때문에, 걷고 있는 방향이 북쪽인지 남쪽인지 알 수 있다. 더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