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d라이브러리
"
생각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천문학자들은 그동안 크기가 큰 행성은 목성처럼 가스로 이뤄진 가스형 행성일 것으로
생각
했다. 지난해 3월 미국 칼텍 연구팀은 “지구보다 1.6배 이상 큰 행성은 암석형이 아니다”라고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로 천문학계에서는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정해야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물체의 가속운동에 의해 빛이 이동하는 공간이 휘어지고, 시간도 느려진다고
생각
했다. 그리고 가속운동은 중력에 의한 운동과 같은 의미라는 것도 깨달았다. 중력이 없는 우주공간에서 둥둥 떠다니던 사람은 우주선이 같은 가속도로 날아가기 시작하면 지구에서와 똑같이 우주선에서 발을 딛고 서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요격이 가능하겠냐”고 반문했다.북한이 미사일의 발사각을 높여 한국을 공격한다는
생각
자체가 비현실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서재정 일본 국제기독교대 국제정치학과 교수는 지난해 ‘창작과비평’에 발표한 ‘사드와 한반도 군비경쟁의 질적 전환’이라는 글에서 “이런 주장은 고등학교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불리해 보인다. 예컨대, 아주 오랜 옛날 열대 우림에서 큰 소리로 웃으며 다녔다고
생각
해 보자. 우거진 숲 속에서는 눈으로 보는 정보보다 먼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 정보가 더 유용하다. 그런 상황에서 큰 소리로 웃으면 천적에게 들키거나 잠재적인 먹이감을 쫓아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쥐는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되자 일찍 포기해버렸다. 20수나 내다볼 수 있는 컴퓨터를 상대로 무리하지 말자고
생각
한 것이다. 2국이 끝난 뒤, 검토과정에서 흑이 어렵지 않게 비길 수 있는 길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카스파로프는 더욱 동요했다. 3~5국을 어렵게 비긴 뒤 맞이한 마지막 대결에서 카스파로프는 초반에 ... ...
[Tech & Fun] 좀비 아이들도 채소가 맛있대요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숨기기 위해 케첩을 바르고 빵 사이에 숨어 있다”는 구절이었죠. 천재시인이라는
생각
이 드네요. 치즈를 역사나 지리 수업에 활용하거나, 자신만의 요리 레시피를 만들어 친구들과 나누는 수업도 있었어요. 미각교육을 받다보면 농부와 목축업자가 음식을 어떻게 만들고, 음식물쓰레기가 환경을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교수는 예를 하나 들었다. “맹수들이 굉장히 많은 무서운 산에 오르고 있다고
생각
해보자. 그 때 아직 직접 만나지는 않았지만 맹수가 나타날 것(앞으로의 일)을 걱정하는 것은 불안이라 하고, 맹수가 진짜로 나타났을 때(지금 맞닥뜨린 일) 느끼는 두려움은 공포”라고 설명했다.공포와 불안에는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같은 궁금증이 연구 주제로 발전하게 되거든요.이차연 기계공학의 매력은 뭐라고
생각
하세요?김호영 공부한 것을 바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인 것 같아요. 소금쟁이 로봇을 예로 들자면 소금쟁이에 대해 탐구한 결과를 바로 로봇이라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잖아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두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수든 무조건 이 소수인 건 아니었다. 메르센은 지수 p가 소수일 때 이 소수가 된다고도
생각
했다. 그러나 p가 소수인 11일 때는 11-1=2047이고, 2047은 23×89로 소인수분해가 되는 것을 알게 됐다. 즉 이때는 소수가 아닌 것이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p의 크기를 키워가며 이 소수가 되는 ... ...
[재미] 양손잡이 위상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내가 위상수학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했거든. 이 공간은 독일의 수학자 클라인이
생각
해 낸 ‘클라인 곡면’이지만. 대부분 ‘클라인 병’이라는 이름으로 많이들 알고 있더군.”“푸앵카레의 추측을 내놓은 그 수학자요? 그게….”“밀폐돼 있는 3차원 공간에서 모든 폐곡선이 수축돼 하나의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