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장난감에서 합성생물까지 블록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안녕? 난 30년이 지나도록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는 레고 블록 인형이야.그런데 그거 아니? 내가 이렇게 인기 있는 이유엔 놀라운 과학 원리가 숨어 있단 사실~!어과동 친구들~, 나와 함께 블록의 비밀을 알아보지 않을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장난감에서 합성생물까지 블록의 과학A 블록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세계 사람들이 1년 동안 레고를 가지고 노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아니? 무려 50억 시간이나 된다고 해. 그 인기비결을 알기 위해 우선 블록 장난감의 역사를 알아보자.블록의 진화알록달록한 색깔에, 올록볼록한 모습.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블록 장난감의 모습이지요. 하지만 블록이 처음부터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가을마다 열리고 있어요. 대회 참가자들은 주로 고등학생 이상으로 고등학생, 대학생, 대학원생 세부문으로 나누어 참가해요. 참가 분야도 실험, 소프트웨어, 예술 등 다양하답니다.때론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전문 연구자들보다 더 기발할 때도 많아요. 한 예로 2009년 대상을 받은 7명의 영국 ...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헤드셋이 가상현실을 진짜 현실 같이 보여 주는 거였구나. 그런데 생각해 보니 헤드셋에서 나오던 영상도 놀라웠어. 머리 위부터 발 아래까지 모든 곳을 다 보여 줬거든. 그래서 더 진짜처럼 느껴졌던 게 아닐까?렌즈를 늘리거나 특수 렌즈를 쓰거나~잠시 어과동에서 눈을 떼고 방안을 둘러보세요. ... ...
- [수학뉴스] 세상이 원하는 창의융합 인재, 2016 융합 R&E 전국대회에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본인만의 특별한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또 와이즈만 영재교육 출신의 대학생 강연자들은 ‘나의 꿈을 키우는 꿈터, 와이즈만’을 주제로, 강한 도전 정신으로 꿈을 이룬 경험담을 소개했습니다. 강연자들은 탐구 학습과 발표와 토론 경험이 도전 정신을 갖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 ...
- INTRO. 가상현실, 어느 수학자의 보고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나는 요즘 연구가 잘 되지 않아 서재에 꽂혀 있는 책이나 한 권씩 꺼내보고 있었어. 오늘은 중국의 사상가 장자의 을 꺼내 들었는데 책을 펼치자 장자의 꿈 이야기가 나왔어. 장자는 꿈속에서 나비가 됐고, 나비처럼 즐겁게 춤추고 있었지. 그러다 잠에서 깼는데, 글쎄 장자가 아니던가. 꿈이 ...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또 환자의 진단부터 가상 수술 시뮬레이션, 그리고 실제 수술에도 이용한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3차원 가상영상으로 생리학 원리를 배운다. 시신을 이용한 해부학 실습을 가상현실로 대신할 수도 있다. 작년 12월 폴란드에서는 가상현실 장치를 이용해 실제 심장 수술도 했다.그 외에도 가상현실의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북한에서 온 친구들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기자는 대학생 시절 새터민 짝꿍과 한 학기 동안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처음에는 북한에서 왔다고 얘기해주지 않았지만 가까워지자 마음을 열고 이 사실을 알려줬다. 사실 말투로 인해 이미 눈치를 채고 있었고,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학교육과에 입학했고 선생님을 뽑는 시험도 준비했다. 그런데 대학교 졸업 전에 들은 대학원 수업에 푹 빠져버렸다. ‘좀 더 배우고 나서 선생님이 돼도 좋지’라고 생각하고 공부를 이어갔고, 결국 여기까지 왔다. 박 교수가 수학자가 된 전말(?)은 이렇다.“선생님 말고 수학자가 되겠다고 했을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다룬다. 그 동안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었다면,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이해해보자.대학교 4학년 때였다. 필자는 사회생물학을 연구하는 최재천 교수님 실험실에 소속돼 있었다. 구내식당에서 한 후배와 함께 밥을 먹고 있는데 그가 불쑥 물었다. “형, 해밀턴의 규칙에서 유전자를 50%, 25%, 12.5%… 이런 ... ...
이전4334344354364374384394404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