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인위적으로 세포가 자성을 띠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어요. 하버드대학교 의학대학 연구팀은 빵의 반죽을 부풀릴 때 사용하는 미생물인 이스트에 ‘페리틴 단백질’을 결합해 자성을 갖는 이스트를 만들었어요. 페리틴 단백질은 사람의 몸에도 있는 단백질로, 산소를 옮기는 적혈구 속의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자다. 하디는 영국 윈체스터 사립학교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입학한 지 2년 만에 케임브리지대 우등 졸업 인증 시험에서 수학 부문 4등을 했다.하디는 수학계에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많은 수학자를 미치게 한 리만 가설에서도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된 날 저녁, 지도교수 사울레스 교수와 맥주집에서 찍은 사진. 대학원생 시절, 외부에서 방문한 교수가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은 칠판에 적힌 공식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었다. 1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울레스 교수의 연구실에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만드는 등 카파도키아의 지하도시에는 12세기까지 공사가 끊이지 않았다.호텔, 박물관, 대학, 공원까지 모두 지하로카파도키아 이후에도 인류는 다양한 형태의 지하공간을 개발해 왔다. 하지만 주로 교통이나 군사, 저장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진 공간이 많았다. 사람들이 일상적인 활동을 영위하는,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K 의원은 ‘이 바닥에도 이런 인물이 있구나’ 싶을 정도로 선량한 사람이었다. 80년대 대학 총학생회장 출신이지만 무척 온화한 성품에, 늘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나는 그 때문에 그가 정치인으로서 어느 선 이상으로는 성공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날선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니라 멸종 속도가 빠르다는 것과, 그게 사람 때문이라는 거예요. 작년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제라르도 세바요스 박사팀은 현대에 들어 멸종 속도가 100배 빨라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1500년 이전의 척추동물 멸종 속도와 이후의 속도를 비교한 결과였죠. 1500년 이전에는 100년 동안 1만 종 ... ...
-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암산을 하면 우울함과 불안감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감정적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 간단한 설문과 면담을 했습니다. 그 뒤 머릿속으로 간단한 뺄셈 문제를 풀게 하면서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를 찍어 뇌의 활동을 관찰했습니다.그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받는 것이다.노벨상 후보자 추천 요청을 받는 사람은 과거의 노벨상 수상자와 학자, 대학교 및 학술단체 직원이다. 자기 자신을 추천할 수는 없다. 노벨상은 평화상을 제외하고는 개인에게만 준다. 또 죽은 사람은 수상 후보자에서 제외하지만, 생전에 후보자로 지명되면 죽고 나서도 받을 수 있다.20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말을 들었지만, 당시에는 그 중요성을 미처 보지 못했노라고 고백했다. 이로써 그가 대학원생 해밀턴을 소개받았을 때 보인 무반응이 어느 정도 설명이 되는 셈이다. 잠깐, 드디어 해밀턴과 메이나드 스미스가 한 판 붙게 됐다고 성급히 기뻐하진(?) 마시라. 메이나드 스미스는 할데인 대신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이전4304314324334344354364374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