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친구들은 봄처럼 설레는 마음을 안고 대전에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으로 향했어요. 대학원 연구실에 가 보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조금 긴장이 되기도 했지요. 그런 기자단을 맞아 준 것은 환한 얼굴로 시소를 타고있는 연구원들이었답니다.시소 말고도 재미있어 보이는 여러 놀이기구들이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학자가 되라고 지어 주신 이름이다. 국내 대학에서 생명과학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의 대학부설병원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5년 동안 일했다. 최고 권위의 학술지에 잇따라 논문을 발표하면서 주목받았고, 교수가 돼 한국으로 돌아왔다. 감사하게도, 재능과 열정이 넘치는 학생들과 함께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었다. 김병수 UNIST 자연과학부 교수는 수요일마다 공을 차는 아마추어 축구선수다. 대학시절에는 득점왕을 차지했던 뛰어난 공격수였다. 공 하나로 소통하는 축구의 미덕을 닮아서일까. 그의 고분자 나노소재 연구실은 고분자팀과 나노소재팀으로 나뉘어 있지만 서로 간의 소통에 적극적이다. ...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미국 오하이오대학교 로렌스 위트머 교수팀이 아르헨티나 사르미엔토 지역에서 새로운 종의 공룡 화석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이 공룡 화석이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 ‘사르미엔토사우루스 무사키오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사르미엔토사우루스는 몸집이 매우 큰 초식공룡인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명들이 살 곳을 잃고, 생명다양성도 줄어들고 있지요. 그런데 최근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사라 프레이 박사팀이 오래된 숲이 지구온난화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숲은 중앙 부분에서 시작해 바깥쪽 방향으로 점점 퍼져나가기 때문에 숲의 가운데 부분이 바깥쪽 부분보다 ...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땅이 1m나 움직였다고?구마모토가 있는 큐슈에는 북동-남서에 걸쳐 비스듬하게 ‘단층대’가 있어요. 땅이 갈라진 단층들이 모여 있는 것을 단층대라고 하지요. 특히 이 지역에는 약 285만 년 전부터 시작된 신생대 제4기에 들어서 활동을 했거나, 앞으로 활동할 가능성이 높은 ‘활성단층’들이 많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 이른바 ‘크라우드 매스(Crowd Math)’를 시작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온라인상에서 공동연구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한 것이다.국제수학올림피아드 문제가 2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문제라면, 여기에 실린 문제는 언제 풀릴지 시간을 가늠할 수 없다. 미해결 난제처럼 기발한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소에서 여섯 명의 수상자가 나왔고, 호주의 공립병원에서 두 명이 나왔다.유일하게 대학 소속인 수상자는 피터 맨스필드 교수(영국 노팅엄대)로, 물리학자이지만 자기공명영상(MRI)기술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생리·의학상(2003년)을 탔다.공립, 사립, 기업체 소속이라는 차이는 있지만 이들 모두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중심엔 태평양해양과학기지가 있다8박9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연구단원 중 유일한 대학생인 백종원 씨는 “현지에서만 볼 수 있는 해양 생물의 사진을 많이 찍었다”며 “이 사진들을 모아 해양 생물 도감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조혜린 학생은 “오기 전까지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