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사람에게 정신과 병원이 필요한 것처럼 동물에게도 강박증, 공격성, 분리불안 등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할 병원이 필요해요. 우리 병원은 일반 동물병원과 달리 사회화 훈련과 행동치료에만 집중해요. 신체 검사가 필요한 경우엔 외부 실험실에 의뢰하거나 다니던 동물병원에서 검진을 받고 오시라고 ... ...
- [지구사랑탐사대] 보고, 듣고, 맛보는 특산식물 현장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등산로를 따라 가던 대원들은 할미꽃과 같은 가족인 큰꽃으아리, 노랑갈퀴, 병꽃나무 등의 특산식물을 발견했지요. 한편 특산식물 현장교육 현장에서는 후각과 미각을 동원한 탐사도 이어졌어요. 코를 가까이 대면 누린내가 풍겨오는 ‘누리장나무’의 냄새도 맡아보고, 어금니로 씹으면 알싸한 ... ...
- 음식물 쓰레기 어디로 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소각하기도 어려워요. 그래서 지금은 음식물 쓰레기의 대부분을 퇴비나 사료, 에너지 등으로 자원화하고 있답니다. ▲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위해 돌을 먹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지. 연구팀은 우리가 돌에 붙어있는 플랑크톤 등에서 영양분을 얻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 돌에 구멍을 내도 괜찮은 걸까?루벤 쉽웨이 박사는 “리토레도 아바타니카가 바위를 갉아 먹으면서 강이 흐르는 길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어. 이어 “민물 ... ...
- 달 심우주 탐사 전진 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한 말씀 해주신다면?저는 , 등 공상 만화를 보며 자랐어요. 우주는 저와 매우 가까운 이야기였지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우주를 연구하는 일을 선택한 것 같아요. 저는 이번 기회로 우리나라의 우주 연구가 더욱 활발해질 거라고 생각해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움직이면 전기가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이내 꺼져 버리고 말았어요. 건전지가 다 닳아버린 거예요.자가 발전기를 이용한 손전등은 이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돼요. 오직 사람의 운동에너지만으로 불을 켤 수 있거든요. ‘자가 발전기 만들기’ 키트에는 손잡이와 발전기 뼈대를 이루는 부품, 모터, 톱니바퀴, LED, 나사가 들어있어요. 우선 ... ...
- 기생충의 기상천외 생존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방법은 정말 기발하면서도 충격적이에요. 예를 들어, ‘리베이로이아흡충’은 맹금류 등의 새를 종숙주로 삼는 기생충이에요. 이 기생충은 개구리를 중간숙주로 삼지요. 리베이로이아흡충의 유충은 물속에서 헤엄치는 올챙이의 몸속으로 몰래 들어간 뒤 올챙이의 몸속에서 ‘레티노산’을 ... ...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인식해요. 그러면 얼굴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눈은 얼마나 큰지, 입 끝이 올라갔는지 등의 특징을 파악하여 3D 모델에 적용한답니다. 그러면 나와 닮은 AR 이모지가 만들어지죠! (최민석)Q실제 저보다 좀 더 잘생기고 귀여운 것 같은데요…?맞아요! 지금 나오는 AR 이모지는 실제 모습을 바탕으로 좀 더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토이콘 창고에서 AND 노드를 썼지만, 프로그래머들은 AND 말고도 ‘OR’, ‘NAND’, ‘NOR’ 등 다양한 종류의 논리 연산을 사용해요. 논리 연산은 프로그래밍이나 디지털 회로를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답니다. 골을 막을 확률은 1/3! 섭섭박사님과 친구는 서로 돌아가면서 세 번씩 승부차기 대결을 ... ...
-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입력할 때는 문자마다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코드를 사용하지요. 아스키(ASCII) 등이 대표적인 문자 코드예요. 그런데 컴퓨터마다 사용하는 코드가 다르다면 정보를 주고 받기 불편할 거예요. 그래서 1987년, 미국의 IT 회사인 제록스와 애플의 프로그래머들이 모여 유니코드를 만들기 시작했지요 ... ...
이전4304314324334344354364374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