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광릉숲에서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작은관코박쥐 등 좀처럼 보기 어려운 종들을 볼 수 있었어요. 또 천연기념물이면서 깨끗한 자연환경을 나타내는 지표종인 까막딱따구리와 올빼미,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담비도 보고,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관심대상종으로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이유 중 하나는 화상이에요. 주로 피부 표면이 아닌 몸속 화상인데 보호자가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음식물을 충분히 식히지 않고 새에게 줘서 발생한답니다.조류는 식도 바로 아래에 먹이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소낭이 있어요. 소낭은 피부와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얇아서 뜨거운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못하는 세포를 ‘좀비 세포’라고 불러요. 좀비 세포가 많이 생기면 퇴행성 신경질환 등 여러 질병이 생기지요. 그런데 최근 좀비 세포가 심장에 좋은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발표됐어요.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연구소 분자세포생물학과의 엘다드 자호르 교수팀은 손상된 심장 조직이 재생될 때 ... ...
- 기생충으로 역사 탐험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가지고 있는 기생충이 달라요. 따라서 특정 기생충을 발견하면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 등 당시 생활상을 유추할 수 있죠.예를 들어 2010년에 발견된 17세기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는 ‘간디스토마’가 발견됐어요. 이건 민물고기를 날로 먹었을 때 감염되는 기생충이지요. 즉, 17세기 조선시대에서는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만드는 이모티콘은 예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썼어요. 저는 이런 이모티콘과 픽토그램등을 참고하여 176개의 이모지를 만들었어요. 이 이모지는 가로세로 12픽셀의 크기로, 하나에 겨우 18바이트의 용량만 차지했지요.Q이모지가 이렇게 많이 쓰이게 될 거라고 예상하셨나요?전 세계적으로 이렇게 유행할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피부나 옷에 튀면 위험할 수 있거든요.”실험은 크게 3단계로 이뤄졌어요.1단계에선 치약 등의 생활용품 속에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색소로 물들이고, 2단계에선 거름막을 이용해 생활용품 속에 있는 고체 성분들만 골라내요. 그 뒤 현미경을 통해 색소에 물든 미세플라스틱 조각을 찾아내는 게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있어요. 아이팝콘 기기에는 버튼과 가속도, 기울기, 자기장, 빛의 밝기, 온도, 기압 등을 측정하는 7개의 센서가 들어 있지요. 아이팝콘 기기는 이 센서들이 측정한 정보를 아이팝콘 앱으로 전송해요. 아이팝콘 앱에서 이 정보를 이용해 코딩하면 다양한 장난감을 만들 수 있어요. 기압의 변화를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특성을 몰라 효과적으로 궤도를 변경할 시간이 촉박했다”고 말했어요. 실제로 NASA 등은 근지구소행성을 발견하고 궤도를 파악한 뒤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발견된 근지구소행성은 다행히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충돌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요. 문제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번식기마다 통영 홍도와 독도, 태안 난도를 찾아 번식 시기와 번식 밀도, 알의 크기 등을 기록해요. 홍도 괭이갈매기는 몸짓을 크게만 하지 않으면 팔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곳까지 다가오는데, 태안 난도의 괭이갈매기들은 항상 저희가 발을 딛자마자 한꺼번에 날아갔어요. 유독 예민하게 반응해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 결과 줄기는 해가 비치는 쪽으로 굽으면서 자란답니다. 마찬가지로 물과 중력, 장애물 등에 반응하는 것도 모두 옥신을 비롯해 사이토키닌, 앱시스산과 같은 호르몬 때문이지요. 식물이 햇빛을 따라 굽어 자라는 원리를 직접 키우며 이해하고 싶다면 ‘식물 미로 실험(Grow a maze)’ 키트를 이용해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