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단백질은 p53의 활성을 억제한다. 즉 억제하는 걸 억제함으로써 활성화하는 작용을 한다.
지난
해 ‘셀’에는 초파리의 miR-8이 성장을 조절함을 규명한 논문을 실었다. miR-8 유전자가 고장난 초파리는 몸집이 작았다. 김 교수팀은 사람의 miR-200이 초파리의 miR-8에 해당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잎과 마찬가지로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기물(포도당)로 바꾼다.연구팀은 “
지난
세기에 비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식물플랑크톤 수가 줄어들면 햇빛이 바다 깊은 곳까지 들어가 해수 표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해수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Q 1. 크기가 같은 성냥개비가 20개 있습니다. 이것을 6개와 14개로 나눠서 2개의 도형을 만들되 면적이 큰 도형이 작은 도형의 3배가 되도록 만들어보 ... 정답을 맞힌 독자 중 6분을 선정해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
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쪽에 있습니다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빛의 일부가 방향이 꺾이거나 퍼지면서 진행하는 현상을 회절이라고 부른다. 좁은 틈을
지난
빛은 퍼져나가면서 서로 겹쳐져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곳이 분포된 회절 무늬가 생긴다.이때 파장이 길수록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간격이 크다. 백색광이 틈을 지나 스크린에 도달할 때에는 스크린의 ... ...
우리나라 학생의 뛰어난 등호 이해력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서로 같다’는 뜻의 수학기호인 등호에 대한 이해력 차이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지난
8월 미국 텍사스 에이앤엠대학교 연구원들이 이 사실을 밝혔습니다.그들은 등호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로 수학교육의 우수 여부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를 책임진 로버트 교수는 “등호는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무인전투기가, 바다에서는 무인잠수정이나 무인전투함이 활약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지난
10년 사이에 두드러졌다. 2003년 이라크를 침공할 때만 해도 미군은 지상로봇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2만 대에 가까운 공중, 지상 로봇을 사용하고 있다. 무인정찰기로 지상공격이 가능한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처음으로 나왔다. 국제 해양연구기관인 해양생물 센서스(Census of Marine Life)는 2000년부터
지난
10년간 전 세계 바다 25곳을 조사해 만든 해양생물 보고서를 8월 2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해양생물 센서스는 바다에 어떤 생물이 어디에 얼마나 서식하는지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너머 거시우주는 어떨까. 양자역학과 달리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일반상대성이론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거듭되는 검증을 거쳐 입증이 됐다. 하지만 실제로 일반상대성이론에 대한 검증은 양계 내에 국한되어 있다. 아인슈타인은 태양계 너머 거대 우주는 아직 평정하진 못했다.이 문제는 현대물리학의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난
100년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도시가 흥망성쇠를 겪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6000년 동안 벌어진 것보다 훨씬 빠르고 심하다. 환경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최근에는 이와 같은 변화가 더 과격해질 가능성이 높다. ‘지식의 길을 묻다’ 7회에서는 사람이 살아가는 터전인 ‘도시’의 현재와 ... ...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다. 스포츠와 같이 빠른 동작이 나오는 화면도 매끄럽게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지난
월드컵 때 거리 응원에 쓰인 대형 전광판은 대부분 LED로 만든 것이다. 한편 최근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조명으로의 활용이다. LED는 백열등, 형광등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월등히 높다. 현재 전력 수요의 23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