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교생 고민 솔직하게 나눠요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나와’ 촬영현장은 언제나 동아리 회원들의 끼와 도전적인 열정으로 가득 차 있다.
지난
7월, ‘다나와’가 첫 번째로 찾은 동아리는 경기 고양시에 있는 화수고의 풍물패 ‘소리아리’였다. 9월에는 두 번째로 경기 일산시 주엽고에 있는 응원 동아리 ‘히어로’를 만났다. 세 번째는 경기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우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X-글라이드의 위력이 검증된 셈이다.하지만 수많은 논란 끝에
지난
1월, 이 수영복은 세계수영연맹(FINA)의 공인심사에서 탈락됐다. FINA는 첨단 수영복을 제재하기로 하고 수영복 재질은 물이 통과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결국 물이 통하지 않는 X-글라이드는 화려한 업적에도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시절, 청색 종이 위에 나뭇잎을 올려놓고 햇빛에 놓으면 한참
지난
뒤 햇빛을 받은 부위만 더 파랗게 색이 변하는 청사진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청사진은 사진을 만드는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청사진은 철(Ⅲ)염의 감광성을 이용하는 사진법으로 시아노타이프(cyanotype)라고도 한다. 1842년 영국의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원리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을 것이다.‘미지와의 조우’에 어떻게 대응할까
지난
4월 스티븐 호킹은 방송에서 “만약 외계인이 우리를 찾아온다면 유럽인이 아메리카 대륙에 진출했을 때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일어났던 일이 우리에게 일어날 것”이라며 “인류는 가급적 외계인과 접촉을 하지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풀기 위해 직접 실험을 한 엉뚱한 과학자들이 있다. ‘이그노벨상’ 수상자들이다.
지난
9월 30일(현지 시간), 미국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는 매년 이맘때 열리는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렸다. 이그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의 웃기는 과학 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를 만드는 편집진과 여러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공동위원장으로 영입하고 뇌단백질체 지도 제작에 참가해 달라고 제안했다. 마침내
지난
3월 충북 오창에서 열린 워크샵에서 공식적으로 뇌조직을 공급받기로 하고 연구 방향의 기본틀을 마련했다.9월 19~24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프로테옴기구 연례 학회에 참석한 박 박사와 헬무트 마이어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오갈피 등도 약간이나마 김치 젖산균이 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
지난
3월 문을 연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박완수 소장은 취임 당시 “어떤 유산균이 활동하느냐에 따라 김치의 맛과 풍미가 달라진다”며 “이런 김치맛을 조절하려면 유산균의 생태계부터 이해해야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커 박사팀이 찾은 PKD2L1가 진짜 신맛 수용체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아무튼
지난
10여 년 동안 주커 교수는 오랜 친구인 리바 박사와 함께 미각의 신비를 밝히는 데 헌신해 왔다. 그는 “신경생물학 연구를 20여 년 수행한 지금에도, 나는 해부현미경으로 초파리의 눈을 처음 관찰했을 때 ... ...
영어 규칙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Q. 1. 다음 영어 단어들은 어떤 특별한 규칙을 갖고 배열돼 있습니다. ‘?’에 올 수 있는 단어는 어떤 것일까요? Science - Student - Birthday - Seven - ? ① ... 정답을 맞힌 독자 중 6분을 선정해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
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쪽에 있습니다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왕립과학원은
지난
10월 5일, 세계에서 가장 얇은 탄소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그래핀’ 연구에 초석을 마련한 2명의 과학자를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이번 수상은 다른 해에 비해 꽤 파격적이라는 평이다. 연구나 개발이 충분히 이뤄져 이미 일상생활에 응용되고 있는 분야를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