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미국 커즈와일 테크놀로지의 레이몬드 커즈와일 회장은
지난
2007년 방한 때 “2029년이면 사람만큼 뛰어난 인공지능을 가진 컴퓨터가 등장할 것” 이라고 예상했다. 이 때가 되면 인간의 두뇌를 흉내 낼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역시 등장할거라는 설명이다. 두 전문가의 말을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몇 년 사이에 우주엘리베이터를 현실화할 기술의 토대는 마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
8월 13~15일 미국 워싱턴 주 레드몬드에서 열린 우주엘리베이터 컨퍼런스에서는 7년 안에 우주엘리베이터를 건설하는 게 가능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주엘리베이터가 이렇게 빨리 건설될 ... ...
Intro.SOS! 우리도 지구에서 살고 싶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해가 끝나가는 지금 이 순간에도 지구의 많은 생물들이 조용히 죽어가고 있다.
지난
10월 27일,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제10회 생물다양성총회 부대행사에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생물 종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한 척추동물의 약 20%가 멸종 위험에 직면해 있으며, 매년 ... ...
G20 정상회의 개최로 본 한국 과학기술 경쟁력은 몇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난
11월 11~12일 서울에서 제5차 G20정상회의가 열렸다. 2008년 세계적인 금융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생긴 G20은 기존의 선진국 정상 모임인 G7에 신흥 12개국과 유럽연합(EU)을 포함시킨 모임이다. G20의 일원이 됐다는 사실은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렇게 경제가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서킷에 있었다. 영암 서킷은 대회가 열리기 1주일 전까지도 완공되지 못한 상태였다.
지난
여름 폭우로 공사를 제때에 진행하지 못한 탓이었다. 국제자동차연맹(FIA)의 최종 검수를 받지 못하면 F1 서킷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다행히 경기 직전에 최고 수준인 ‘1급 서킷’으로 인정받아 대회를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핵융합 기술은 앞으로 수십 년 뒤를 내다 봐야 하는 ‘미래를 위한’ 기술이다.
지난
10월 한국을 방문했던 모토지마 오사무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사무총장은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와 비슷한 1000MWh(메가와트)급 핵융합로가 지어지려면 앞으로 최소 30년은 지나야 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국 여성 1호 물리학 박사로서, 교육자로서 평생을 바친 원로 과학기술인이다.
지난
7월 신촌의 한 음식점에서 직접 만난 모혜정 교수는 매우 편안하고 인자한 모습이었다. 30여 년 동안 몸담았던 교수직을 정년퇴임하고 현재 지방에 내려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고 있는 모혜정 교수는 이공계 ... ...
Photos as Memories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해마는 바다생물인 해마(海馬)처럼 생긴 두 개의 구조로서 새로운 기억이 형성되고
지난
기억을 끄집어내는 곳이다. 해마의 손상은 기억상실을 가져오지만, 이때 손상되는 기억은 특정한 종류의 기억뿐이다. 대부분의 기억상실 환자처럼 클레어의 ‘절차기억’은 잘 작동한다. 예를 들어 그녀는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슈퍼솔저 특공대를 투입하면적의 전차부대와 맞서는 것도 가능하다.국군 기무사령부는
지난
2007년 5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공동으로 미래형 한국병사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20년 한국군 병사는 비디오카메라, 헤드폰, 음성인식 마이크 등이 모두 연결된 통합헬멧을 쓰고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이 일어나는지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미생물을 만들 수 있다.
지난
5월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는 미생물의 게놈을 사람이 디자인한 합성세포를 처음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면 생산공정에 최적화된 미생물을 마음껏 합성할 수 있어 현재 대사공학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