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LED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다. 스포츠와 같이 빠른 동작이 나오는 화면도 매끄럽게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지난
월드컵 때 거리 응원에 쓰인 대형 전광판은 대부분 LED로 만든 것이다. 한편 최근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조명으로의 활용이다. LED는 백열등, 형광등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월등히 높다. 현재 전력 수요의 23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난
5월 21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발사한 로켓에는 최초로 우주범선 기술을 주 추진시스템으로 사용한 우주탐사선 이카로스(IKAROS)가 실렸다. 이카로스는 발사 6개월 뒤에 금성에 도달하고 3년 후엔 태양의 반대편을 탐사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이카로스에는 마름모꼴 형태의 태양돛이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소와 한 얼굴에 들어 있는 남녀노소 얼굴의 특징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500년이
지난
지금도 최고의 화가이자 과학자로 인정받고 있는 이유라고 조 교수는 주장했다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마을의 별빛 인심은 하늘의 별만큼이나 후했다. 농장 마당이라 그런지 아늑한 느낌이다.
지난
밤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남십자자리에서 에타카리나 성운까지 눈걸음을 옮겨본다. 은하수의 멋진 성운과 성단이 줄지어 있다.이곳은 가장 아름다운 별빛정원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납십자자리 바로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Q 1. 크기가 같은 성냥개비가 20개 있습니다. 이것을 6개와 14개로 나눠서 2개의 도형을 만들되 면적이 큰 도형이 작은 도형의 3배가 되도록 만들어보 ... 정답을 맞힌 독자 중 6분을 선정해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
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쪽에 있습니다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빛의 일부가 방향이 꺾이거나 퍼지면서 진행하는 현상을 회절이라고 부른다. 좁은 틈을
지난
빛은 퍼져나가면서 서로 겹쳐져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곳이 분포된 회절 무늬가 생긴다.이때 파장이 길수록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간격이 크다. 백색광이 틈을 지나 스크린에 도달할 때에는 스크린의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처음으로 나왔다. 국제 해양연구기관인 해양생물 센서스(Census of Marine Life)는 2000년부터
지난
10년간 전 세계 바다 25곳을 조사해 만든 해양생물 보고서를 8월 2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해양생물 센서스는 바다에 어떤 생물이 어디에 얼마나 서식하는지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지난
100년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도시가 흥망성쇠를 겪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
6000년 동안 벌어진 것보다 훨씬 빠르고 심하다. 환경이라는 요소가 더해진 최근에는 이와 같은 변화가 더 과격해질 가능성이 높다. ‘지식의 길을 묻다’ 7회에서는 사람이 살아가는 터전인 ‘도시’의 현재와 ... ...
달팽이의 봄소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밝고 어두운 정도인 명암만 구별할 수 있어. “아니 달순씨! 이게 얼마 만이에요…?”
지난
겨울 헤어진 남자 친구이기도 하고 여자 친구이기도 한 달순씨를 만났어. 그런데 왜 달순씨가 남자면서 여자냐고? 우리 달팽이는 암수가 한 몸인 ‘자웅동체’거든. 헉! 그런데 저 괴물들은 누구지 ... ...
탈탈, 슥슥~. 빨래 개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잘개는 비법 좀 알려 주세요.지구? 그 곳에서도 최근 빨래 개는 로봇을 만들었다 던데요?
지난
4월, 미국 버클리대학교 전자공학연구팀과 컴퓨터학과가 ‘PR2’라는 로봇을 만들었대요. 저도 PR2도빨래 개는 비법은 같아요. 수건을 집어들고 카메라눈 4개로 관찰해서 수건의 모양을 측정해요. 그런 후에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