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뉴스
"
수증기
"(으)로 총 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맛비 이번주엔 중부로
동아일보
l
2013.07.08
올해는 더욱 두드러지는 편이다. 기상청은 북태평양에서 장마전선으로 이어지는
수증기
통로가 주변 기압 배치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매우 좁게 형성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장마전선의 폭이 좁아지면서 예상치 못한 국지성 호우 확률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보통 장마전선 중심부에서는 강한 ... ...
들쑥날쑥한 여름 날씨 예보 능력 업그레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3.07.04
‘라디오 미터’와 ‘윈드프로파일러’가 쓰였다. 라디오미터는 구름이 함유한
수증기
의 양을 측정한다. 윈드프로파일러는 바람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측정한다. 이를 통해 기상청은 실제 이동하는 대기에 거의 유사한 수치 모델을 만들 예정이다. 기상청은 또 관측횟수와 관측지역을 늘렸다 ... ...
[채널A] 남부는 ‘흠뻑’ 동해는 ‘푹푹’…달라도 너무 다른 날씨
채널A
l
2013.07.04
관계없어 보이지만 원인은 같습니다. 장마 기간에 부는 남서풍 때문입니다. 기온이 높고
수증기
를 많이 머금고 있는 남서풍이 남부지방에선 비를 뿌리고 고온 건조해진 상태로 백두대간을 넘어 동해안을 뜨겁게 데운 겁니다. 무더위는 내일 오후까지 계속될 전망입니다. [인터뷰 : 박지훈/기상청 ... ...
[채널A] 106년만의 폭염…장마 시작으로 무더위 ‘주춤’
채널A
l
2013.07.02
그 상층엔 급격한 날씨 변화를 유도하는 기압골이 겹쳤습니다. 남쪽에선 따뜻한
수증기
가 수분을 공급하는 양상인 겁니다. 장마전선은 오는 목요일쯤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금요일부터 다시 활성화되겠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 ... ...
넉달이면 만드는 미니발전소…“2400가구에 친환경 전력공급”
동아일보
l
2013.07.01
LNG 압력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스레인지 내부 압력보다도 더 낮다”고 말했다.
수증기
로 터빈을 돌리는 것도 아니니 소음도 별로 없다. 화력이나 수력, 원자력발전소를 취재할 때는 안전모와 귀마개를 착용했는데 연료전지발전소를 취재할 때는 그럴 필요가 없었다. 소음이 없지는 않았지만 ... ...
습한 장마철 해결사 '제습기' 올해 유독 불티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낮춰 공기 중 수분을 응축시키는 방식이다. 이슬점이란 공기 중
수증기
가 냉각돼 물방울을 맺는 온도를 말하는데, 상대 습도에 따라 이슬점은 달라지게 된다. 에어컨과 작동원리가 유사한 데, 에어컨은 제습할 때 차가워진 공기를 그대로 공급하고 제습기는 원래의 공기를 ... ...
피부 화상 유발 자외선 힘, 갈수록 세져
동아사이언스
l
2013.06.13
있다. 박 박사는 “자외선 도달양은 자외선을 흡수하는 오존층의 변화나 날씨, 대기 중
수증기
등 변수가 많아 예측하기 쉽지 않다”며 “자외선B의 연평균 에너지양이 2kJ/㎡ 미만이지만, 한 여름인 6~8월 사이 자외선B의 에너지양은 연평균 값의 2배를 훌쩍 뛰어넘고 있어 한여름 자외선 노출에 ... ...
6월부터… 독한 여름이 온다
동아일보
l
2013.05.27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을 가로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올해는 높은 수온 탓에 몬순이
수증기
를 잔뜩 머금게 되고 초반부터 많은 비를 뿌려 동아시아에 도착할 때는 세력이 약해질 것으로 보인다. 결국 북태평양고기압이 세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평균 고도 4500m의 티베트 고원에 눈 쌓인 면적이 ... ...
가뭄 때문에 농사 어렵다? 인공강우로 제2의 농업혁명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비나 눈이 내리는 건 아니다. 대류운이나 층운형 구름처럼 지상에서 1km 이내에 떠 있고
수증기
함량이 일정 이상인 구름이 적합하다. 인공강우는 대기 정화, 산불 예방, 가뭄 해결 등의 기대효과가 큰 까닭에 전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한 상태다. 중국은 매년 4만 여명의 연구인력과 800억 원 ... ...
이전
37
38
39
40
4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