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뉴스
"
수증기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중국발 황사에 스모그까지…이번주 내내 미세먼지 주의
채널A
l
2014.01.23
곳곳엔 초미세먼지 주의보도 내려져 있습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옅은 안개와
수증기
와 결합한 먼지로 도심 건물이 또렷이 보이질 않습니다. 바람도 약해 대기가 정체되면서 출근길 가시거리는 3km로 뚝 떨어졌습니다. 현재 서울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세제곱미터당 138㎍ 안팎으로 ... ...
잦아지는 혹한과 폭염, 무엇 때문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양극화는 분명히 더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 과장은 “지구가 뜨거워지면
수증기
증발이 원래부터 많던 지역은 더 많이 증발해 강수량이 늘어나고, 사막 지역은 더 건조해져 그나마 있던 강수량마저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 ...
"올 겨울엔 황태·과메기·홍어가 제 맛"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최적의 환경으로 꼽힌다. 포항의 자랑거리 ‘과메기’도 같은 원리다. 과메기는
수증기
를 머금은 바닷바람을 이용한 ‘냉훈식’ 처리 방식이 특징이다. 포항은 강원도 보다 따뜻해 황태처럼 완전히 쫄깃한 살결의 생선을 얻기는 어렵다. 하지만 기름기가 많은 청어를 이런 찬 바람에 7~10일 ... ...
'인류의 폭주기관차' 지구 온난화, 예상보다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않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수증기
가 비구름을 만들지 못할 경우 높은 고도의
수증기
가 줄어 구름의 양이 감소하는 원인이 된다. 구름이 옅어지면 지구에 유입되는 햇빛이 증가하고 대기에 더 많은 열이 가해지면서 온난화를 가속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셔우드 교수는 “기후 모델이 ... ...
새해 목표도 금연? '전자담배'보다는 그냥 끊는게 답!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전자담배 - 위키미디어 제공 ‘전자담배’는 니코틴이 녹아있는 액체를 가열시켜
수증기
를 만드는 전자기기다. 흡연자의 입이 닿는 ‘마우스피스’와 액체가 담겨 있는 ‘무화기’, 이를 가열하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평균적으로 15모금 정도 빨아들일 때 섭취하는 니코틴 양이 ... ...
우리나라도 '슈퍼태풍' 안전지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기본적으로 태풍이 발생하려면 △26.5도 이상의 따뜻한 바닷물 △구름을 발달시킬 풍부한
수증기
△태풍 연직구조 유지를 위한 상층부와 하층부의 미미한 바람세기 차 △대기의 반시계 방향 회전 등 네 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필리핀해를 비롯한 인근 지역은 이 조건에 맞아떨어진 덕분에 매년 ... ...
“버릴 熱은 없다” 에너지난 속 뜨거운 공생
동아일보
l
2013.12.17
담을 따라 길게 이어진 직경 40cm짜리 원통형 파이프라인이 눈에 들어왔다. 곳곳에서
수증기
가 뿜어져 나오는 파이프라인에 손을 대 보니 온기가 느껴졌다. 파이프라인 내부에는 180도의 뜨거운 증기(폐열)가 시간당 50t씩 이동하고 있다고 했다. 길이 1.5km에 이르는 파이프라인은 담 하나를 경계로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1atm은 1기압을 말한다. 파란 선은 물의 고체 상태인 얼음, 액체 상태인 물, 기체 상태인
수증기
를 나누는 경계선이다 어떤 여학생이 물었다. "혜성 사진을 보니까 반짝반짝하던데, 그것은 혜성 자체가 빛을 내는 건가요?" 나의 대답은 "혜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햇빛을 받아서 ... ...
혜성이 멀리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7
것이다. 혜성이 해에 접근하면 표면에서 승화 현상이 일어나 얼음이 곧바로 기체인
수증기
가 된다. 이 기체가 혜성체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혜성의 코마이고, 코마를 이루는 기체가 태양풍에 의해 태양계 바깥 방향으로 길게 밀려나가서 생기는 것이 혜성의 ‘이온 꼬리’이다. 기체가 ... ...
바닷물 흐름이 열대지역 폭우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13.10.24
판단했다. 에너지 불균형으로 뜨거워진 북반구 대기가 남반구로 이동하는데, 이때
수증기
는 대기가 열을 전달하는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성질에 따라 북반구 열대지역으로 움직이게 돼 집중적인 열대강우가 발생한다는 것. 실제 연구진이 기후변화 시뮬레이션에서 ‘해양 순환’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