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뉴스
"
수증기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것을 알아냈다고 3일 밝혔다. 구름 속의 얼음은 처음엔 작은 알갱이에 불과하지만 주변
수증기
가 붙어 더 큰 덩어리를 형성해 무거워지면 비나 눈이 돼 내린다. 온도가 떨어지면 주변 물분자들은 서로 뭉쳐 작은 방울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방울의 크기가 커져 ‘임계핵’이라 부르는 지점에 ... ...
스마트폰 물에 빠졌다구요? 침수(浸水) 라벨 믿지 마세요~
2015.06.02
이동하면 안경에 서리가 맺히는 것처럼, 따뜻한 온도에서 공기 중에 많이 포함돼 있던
수증기
가 갑자기 온도가 떨어지면 주변 물체에 붙어 이슬이 맺히는 응축현상이 스마트폰 내부에서도 일어난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바지 주머니에 스마트폰을 넣고 운동할 때, 찜질방에 갔을 때 등 권장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off).” 철제 바지선이 데워지면서 어느 순간 바지선 바닥에 고인 물 웅덩이에서 하얀
수증기
가 피어나기 시작했다. 어느덧 2시간이 훌쩍 지나 있었다. 철저하고 꼼꼼한 준비였다. 드디어 준비 완료. 크레인이 크랩스터를 하늘 높이 번쩍 들었다. 6개의 다리를 몸 안 쪽으로 모은, 영락 없는 게의 ... ...
필리핀에 태풍 노을 강타 2명 사망, 日 향해 북북서진…밤부터 전국 비
동아닷컴
l
2015.05.11
북상하는 태풍 노을과 서해상에서 북동진하는 저기압에 의해 우리나라 부근에 많은
수증기
가 유입됐기 때문. 한편 태풍 노을은 이날 오전 9시 현재 중심기압 955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 40m/s의 강한 소형 태풍으로 시속 18km의 속도로 북북서진 하고 있다. 대만 동쪽 바다를 지나면서 진행방향을 ... ...
화성에 얼음 말고 소금물도 있다
2015.04.14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 13일자에 게재됐다. 밤에 응결된
수증기
가 서리처럼 화성 표면에 내린다. 과염소산염은 이 서리를 녹여 소금물을 만든다. 이 가운데 일부는 땅 속으로 스며들고 일부는 해가 뜨면 다시 증발한다. - 사비에르 마르틴-토레스 교수 제공 ... ...
플라스틱에 그래핀 섞어 공기 차단 성능 240배 ↑
2015.04.07
탄성이 높고 기체 차단 성질은 240배나 높아졌다. 이 소재는 기존 복합소재가 산소 및
수증기
등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해 활용이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각종 첨단기기 제조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품의 수명이나 성능을 보호하는 외부포장물질, 첨단 전자기기인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열대성 저기압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해수면에서
수증기
가 증발해 공기 중에 충분한
수증기
가 있어야 한다. 지구가 따뜻해지면 극지방의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고, 동시에 증발산량도 증가한다. 그 결과 대기 중 물의 농도가 증가하고 태풍도 더 쉽게 만들어진다. 물 재해는 해마다 급증하고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서리지 않았다. 표면이 초친수성(超親水性)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김이 서리는 것은
수증기
가 유리 표면에 둥근 물방울 모양으로 달라붙는 것인데, 초친수성 표면에선 둥근 물방울을 유지하지 못하고 납작하게 퍼져 버린다. 평평한 수분 막이 되기 때문에 김도 서리지 않는 것이다. 또 나노 돌기 ... ...
왜소행성 ‘세레스’ 오늘 밤 인류 첫 탐사
2015.03.06
아래에 바다가 숨어 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지난해 유럽우주국(ESA)은 세레스 표면에서
수증기
가 새어 나왔음을 시사하는 증거를 포착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돈이 보내올 데이터가 세레스 내부에 물의 존재 여부와 물이 분출되는 방식을 확인하는 데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태양계 형성 초기에도 화성과 목성과 사이에 있는 지점을 분기점으로 해서 그 너머에는
수증기
가 얼음으로 응축할 정도로 충분히 온도가 낮았고 그 결과 이곳에 있던 소행성들은 물(얼음)을 충분히 머금게 됐다. 태양계 형성 초기에는 목성 같은 거대 행성의 궤도가 불안정해 중력섭동이 일어났고 그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