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은 벌써 시베리아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것들이다.따라서 목재 자체의 기본적 성질을 이해하기 위해 목재화학 목재이학 목재
해부학
등 기초이론을 공부하게 된다. 또 목재를 가공하는 펄프·제지 목가구 접착등의 과목을 배움으로써 원료로서의 목재와 가공품으로서의 목재에 대해 다양하게 접하게 된다. 외국에서는 가구디자인까지도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그대로여서, 골격 살 껍데기 털 위속의 식물(풀 덤불 잔가지 나무껍질)들은 맘모스의
해부학
과 생태학 그리고 지질시대를 알 수 있는 훌륭한 시상화석(示相化石)이 되었고, 탄소동위원소 절대 연령측정에 의해 그들의 연대를 알려주는 매우 정확도가 높은 표준화석(標準化石)이 되었다. 소련 ... ...
인류 최초의 조상은 그리스에서 살았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주목했다. 특히 이빨에 에나멜질이 두껍게 형성돼 있는 점과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가
해부학
적으로 비슷한 점이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둘사이의 선조-자손 관계를 확정짓기에는 자료가 부족했다.최근의 발견은 이런 점에서 의의가 크다. 얼굴과 위턱이 비교적 잘 보존돼 있어 훌륭한 ... ...
창조를 위한 모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주로 쓰인다. 이중 정밀도를 더욱 높인 것은 의과대학의 교육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해부학
에서는 인체모형이 필수적. 이들 모형은 금형을 이용한 기본틀을 제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덧칠(외장)이 생명이다. 신경회로나 피의 흐름을 색감으로 표시하려면 뛰어난 색채감각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 ...
장수와 단명 가르는 세 인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다음과 같은 흥미진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그는 나이를 먹음에 따라 달라지는 인체
해부학
적 변화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즉 나이가 들면 혈관벽이 비후, 혈액분포가 편재됨을 의미있게 본 것이다. 그는 이 관찰사실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영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국소적(局所的)으로 생활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저희 학원에는 서울의대 본과 1학년을 다니다 다시 공부하겠다고 온 학생도 있어요.
해부학
실험을 도저히 못하겠다는 거예요. 그래서 문과로 옮겨서 공부하고 있는데, 이런 학생들이 5~6명이나 있어요.또 앞으로는 우리 생활도 전체적으로 윤택해질 테니까 지나치게 생활과 결부된 선택은 할 필요가 ... ...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밑받침이 되는 학문으로는 기초과학인 생물 화학 등을 필두로 유기화학 생화학 생리학
해부학
조직학 유전학 미생물학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리고 농업경영 가축관리론 등을 포함시키는 동물생산학이 바로 내가 하고 있는 축산학이다.세분하면 더욱 다채롭다. 가축사양학 유정육종학 ... ...
PART3 성교육, 어디까지 다뤄야 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신체와 신체적 반응에 익숙해야 하고 애정을 받아들이고 표현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또
해부학
적 성에 일치하는 심리적 관념(성별관)을 발달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역할이 강요되고 상투적이 되어서는 안된다.어린이가 관심을 갖는 주제에 관한 정보는 보류되어서는 안되고 제공되어야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발성했지만 그 특성은 다르다. 이와같이 발성자별로 입술 혀 턱 등의 조음기관의
해부학
적 구조차와 발성습관의 차에 의해 음성의 특성이 달라지는데 이를 개인차라 한다. 실제 음성인식을 행할 경우 개인차를 제거(발성자 정규화)함으로 인해 불특정 다수 발성자의 음성인식을 할 수 있으며, 반대로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걸렸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깊은 층에서 나온 두개골과 최상층부에서 나온 두개골의
해부학
적 차이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는 그들의 생활이 오랜세월동안 안정되어 있었고 외적의 침입이 없었다는 증거일 것이다.정촌인의 이빨구석기시대 초기의 중국 북부에는 북경원인만이 살고 있었던 것은 ... ...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