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3천만년전 화석에서 DNA복원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種)으로 인정되었다.지금까지 흰개미는 바퀴로부터 진화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해부학
상의 비교연구에 기초를 둔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가설이 흔들리게 되었다. 이번 DNA 분석 결과로 흰개미와 바퀴는 공통의 선조로부터 진화한 곤충이라는 것이 확실해졌다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조화비에 대한 연구가 탁월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이후 신체의 황금비례에 대한
해부학
적 접근도 시도됐는데 이를 연구한 많은 학자들은 손 발 얼굴 몸통 나아가 세포나 신경수준에 이르기까지 조화로운 황금비 내지 이에 근접한 비례가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했다.뿐만 아니라 발레리나의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한다. 부분화석을 통해 그것을 소유했던 동물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비교
해부학
적 지식의 축적이 선행돼야 한다.불행하게도 국내에서 발견된 공룡의 골격 화석은 어느 공룡의 어느 부위의 것인지 확실한 결론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 이들에 대한 분류명칭이 일부 거론되기도 했지만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집중적인 탐사를 실시, 보존상태가 좋은 대형 파충류 골격들을 다수 확보하고 이들의
해부학
적 특징을 파악하게 됐다. 이들의 두개골은 이빨 모양이나 함몰공의 숫자가 현생 파충류와 아주 유사한 반면, 엉치뼈 등뼈 또는 다리뼈의 구조는 판이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당시 파충류 화석 연구의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아버지라고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B.C. 5세기 경에 활동한 그리스의 의학자다. 그는
해부학
과 생리학을 주로 연구했고 애엽 계피 대황 등의 생약을 즐겨 이용했다. 디오스쿠리데스(Dioscurides)가 지중해의 여러 나라를 여행한 경험을 살려 A.D. 77년에 저술한 책, 마테리아 메디카(Materia Medica)에는 생약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서양의학은 인체를 메커니즘의 견지에서 파악, 생리학
해부학
조직학 등이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왔다.이러한 노력은 최근에 와서 전자공학과 정밀기계공학의 도움을 받아 인체의 여러 기능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숫자로 파악할 수 있는 장치가 여러가지 개발됨에 따라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신경과학학회가 생긴 69년을 기점으로 볼 수 있어요. 당시에는 이미 앞서 몇십년동안
해부학
이나 생리학 등 각 분야에서 신경과학연구의 성과가 어느 정도 축적돼 있었죠.예를 들어보자면 70, 80년 전에는 뇌속에 기억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쥐에게 학습을 시킨 뒤 그 쥐의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생각하는 능력이 높음을 발견할 때면 뉴스거리로 취급하곤 했다.또 우리 두뇌와
해부학
적 구조가 많은 경우 타 동물보다 더욱 지능적이라고 인정해 왔다.(우리는 식물이 지능이라고는 전혀 갖추지 못했으며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기쁘게 인정한다). 따라서 침팬지와 고릴라는 ... ...
알프스의 미이라 '외츠'정체 드러내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교섭을 계속하고있다.이 미이라를 연구하는 데는 현재 전유럽의 내로라하는 고고학
해부학
등 관련학자들이 총동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이 이용하는 발달된 기술 덕분에 미이라의 신체훼손도 최소한으로 줄어들었다. 일례로 불과 10년전만해도 탄소동위원소로 연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략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흐르면서 생기는 전기역학 현상으로 설명된다.L.갈바니(Galvani)는 이탈리아 볼로냐대학의
해부학
교수였는데 1780년에 우연히 개구리 다리실험에서 전류효과를 살피게 된다. 갈바니가 개구리를 칼로 쨀 때 옆에서는 조수가 정전기실험을 하고 있었는데 번갯불이 튈 때마다 개구리 다리가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