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진단 범위를 크게 확장시켜 놓았으며, 종래에는 두개골에 싸여 촬영이 어려웠던 뇌의
해부학
적인 구조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됐다. 보통 한개 단면을 촬영하기 위해 1,2백개의 방향에서 X선을 투과시켜 촬영하기 때문에 진단받는 사람의 X선 피폭량이 증가되는 것이 가장 커다란 단점이나, X선 ... ...
뿔이 무기인 노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장면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때때로 교활하게 행동하기도 하는 노루가 다른 동물과
해부학
적으로 다른 점은 쓸개가 없다는 점이다.그들은 오래 전부터 수렵의 대상이 돼 왔다. 삼국사기에도 노루를 잡았다는 기록이 자주 나타난다. 그 책에는 고구려 유리왕 2년에 서쪽으로 사냥을 나가서 흰 노루를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최종판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는
해부학
적 기능학적 지식을 활용하고 있다.올드필드는 왼손잡이 여성(6%)보다 왼손잡이 남성(10%)을 더 흔히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인구비율에 있어서 뚜렷한 성차(性差)를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로 왼손잡이가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은 언어를 구사하긴 했으나 'a u i j k g s ch'등의 발음은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이같은
해부학
적 검증과정을 통하면 발성 가능성에 대한 것을 어느 정도 검증해낼 수가 있다. 그러나 어떤 언어를 구사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낼 수가 없다. 마리 앙트와네트는 "토타벨원인의 언어는 언어로서 ... ...
동물전기설을 극복하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다리가 수축한다는 사실이 학계에 발표되자 유럽의 많은 사람들은 놀랐다. 이탈리아의
해부학
교수였던 갈바니(Galvani, 1737~1798)는 우연한 기회에 개구리에 메스를 가하자 다리가 수축함을 발견했다.그의 발견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갈바니가 병약한 부인을 위해 은쟁반위에서 개구리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Nature)에 그와 관련된 논문을 게재했다. 그들은 시조새의 흉부와 날개 및 깃털에 대한
해부학
적 검토작업을 수행, 시조새가 현대의 새와 같이 동력비행(powered flight)을 할 수 있었다고 결론내리고 있다. 또한 제리슨(Jerison)은 시조새 두개골 연구를 통해 시조새가 전형적인 조류의 두개골을 갖고 있을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했다. 하지만 현재는 내이(內耳)가 멀미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인간의 내이는
해부학
적 기능적으로 다른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즉 청각기능을 담당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책임지는 전정(前庭)부로 구분된다. 그중 전정부는 세 개의 세반고리관으로 구성돼 있다.멀미를 설명하는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생물학에서는 이러한 일이
해부학
적 지식의 발전 현미경의 발명으로 촉진됐다.
해부학
의 발전으로 인체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이 용이해졌고 현미경으로 생물의 기본구조를 밝히는 세포학이 발전된다. 이어서 다윈의 진화연구가 이어지고 생명의 기원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된 것이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 무생물체의 운동과 상호작용을 주관하는 역학, 생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생물학과
해부학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을 모두 수용하는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 영화대본을 집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영화가 만들어져 나오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연구책임자인 젤처교수가 만든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발굴, 다른 공룡의 것과 면밀히 비교해 봐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비교
해부학
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축적돼 있어야 하는데 국내에는 그런 전문지식을 갖춘 척추동물 고생물학자가 아직 없다. 그러므로 신문이나 TV를 통해 여러가지 공룡의 이름들이 전해지고는 있지만 믿을만한 것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