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평소에는 수축돼 부드러운데 발기되면 마치 뼈같이 단단해진다. 이는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
이 수렵을 할 때 음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쥐나 개와 같은 동물의 음경에 연골이나 뼈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성적인 반응은 혈관계, 신경계, 호르몬계가 복합적으로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모자란 동물이 아니다. 새는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한 동물이며, 새가 떠난 곳에는
인간
도 살 수 없다는 걸 알아야 한다. 지구상에 새가 살지 않는 곳은 아무데도 없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종류만도 8천5백63종에 이른다.새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공동묘지를 내집 드나들 듯 하던 때가 있었다. 잡음을 ... ...
생각을 전달하는 뉴로 헤드셋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생활가전을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제품 ‘뉴로 헤드셋’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인간
의 뇌파와 눈동자를 이용해 무선으로 원격에서 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해준다.림스테크널러지(주)는 5월 21일 뉴로 헤드셋을 공개했다. 이날 림스테크널러지(주)의 연구원이 머리에 쓴 뉴로 헤드셋으로 장난감을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NASA가 설립됐고 이 프로젝트는 그때부터 시작됐다.중력탐사B의 자이로스코프는 지금까지
인간
이 만든 것 중 가장 완벽한 구형이다. 자이로스코프는 탁구공만한 크기로, 완벽한 구에서 고작 40개의 원자가 쌓인 높이 정도의 오차가 있다. 만약 지구만한 크기로 만든다면 이 정도의 오차로 인해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보여준 것 같다. 이 세가지 행위의 근저에 놓인 엄연한 차이를 구별해내기에는 아직
인간
의 기술이 미비하다고 생각된다. 뇌의 작은 부분이 활성화된 것이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을 수도 있고 학자들이 만들어낸 실험모델이 불완전했을 수도 있다.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쓴 데엔 왕조의 번영과 강력한 왕권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있다.음양오행설은 우주와
인간
의 생멸을 음양의 조화로 설명하는 음양설과 만물의 탄생에서 소멸까지를 균형과 조화로 설명하는 오행설로 구성된다. 이를 이용해 길흉화복을 점쳤던 조상들은 오행을 색으로 표현해 나무는 청(靑), ... ...
"
인간
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나아가
인간
성 없이는 철학이 있을 수 없고, 올바른 과학도 존재할 수 없다고 믿었다. ‘
인간
을 위한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 라는 브로노우스키의 생각은 1973년에 나온 이 책이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빛을 잃지 않는 이유를 말해준다 ... ...
다양한 포도 색깔은 이동유전자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일자에 발표됐다. 이동유전자는 세포의 DNA 속으로 들어가 융합된 바이러스성 DNA가닥으로
인간
의 DNA에서도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포도껍질의 짙은 자흑(紫黑)색은 붉은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만드는 유전자 때문이다.일본 과수연구원 쇼조 코바야시 박사팀은 청포도와 연한 붉은색 포도의 안토시아닌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죽일 수 있다.또 천연물질이라 인체에 독성도 거의 없는 것으로 증명됐다. 연구팀이
인간
의 적혈구나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토종 개구리 항생제는 적혈구나 세포를 공격하지 않았다.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세균만을 죽인 것이다.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3년 정도의 임상실험을 ... ...
약물치료로 사랑도 조절 가능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감정을 지나치게 유발하는 뇌 안의 화학반응을 약물치료로 먼저 안정화시켰기 때문이다.
인간
관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감정과 행동에 뇌의 화학반응이 전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은 아니다. 남녀관계는 당연히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을 바탕으로 생각해봐야 한다. 하지만 이 두가지 요인만으로 전부 ... ...
이전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