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어쩡쩡한 얼굴이 되지 않는다. 미소도 매력적인 얼굴로 평가할 때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인간
이 피부 한껍질에 불과한 외면적인 아름다움에 집착한다는 사실은 도덕적으로 실망스럽게 느껴진다. 하지만 본능적인 이유가 있다고 하니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최근 얼짱·몸짱 열풍은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연간 약 9억달러) 예산을 투입한다. 기술 영향 평가 예산은 이 액수의 1/2백도 안된다.
인간
게놈프로젝트의 경우 이 프로젝트와 관련된 윤리적·법적·사회적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비의 5%를 할당했다. 시민단체와 일부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에 대한 영향 평가에 대한 예산도 이 수준으로 늘어나야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맴도는 4개 행성을 발견한 뒤로 좀더 밝게, 좀더 멀리, 좀더 세밀히 우주를 관측하려는
인간
욕망은 더 큰 망원경을 요구했다. 그래서 수많은 천문대가 세계 곳곳에 세워졌다.물론 한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정부가 운영하는 천문학 연구기관인 한국천문연구원은 1978년 충북 단양 소백산천문대에 직경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랑이 깊어져 결실을 맺고 잘 키우기 위한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볼 수 있겠죠. 그런데
인간
에서는 그런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고 있었습니다.최근 그 연관성에 대한 증거가 처음으로 제시됐습니다. 영국 런던대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안드레아스 바텔스 박사는 20명의 젊은 엄마들에게 아기 사진을 ... ...
1백년 뒤에는 언어 절반 멸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해하는 방식이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며 “따라서 언어의 소멸은
인간
의 뇌가 보여주는 다양한 인지구조를 이해하는데 공백을 낳는다” 고 말했다.그러나 현재로서는 언어의 멸종을 막을 획기적인 대책이 없다. 따라서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말과 문법을 기록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황 교수는 윤리적 논란이 큰
인간
난자 대신 인공 세포질을 만들어 체세포를 복제하면
인간
복제의 우려를 말끔히 씻을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배아 복제의 핵심은 체세포의 유전자를 발생 초기로 돌리는데 있다.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반면 서양에서는 우주를 비교적 단순한 원리들로 설명할 수 있는 곳으로 간주하며,
인간
의 행동은 역시 개인의 내부 속성만으로도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서양의학에서는 몸에 이상이 오면 문제를 일으킨 ‘부분’ 을 찾아내 고치는 것이 바람직한 치료법이 된다. 수술이 유독 ... ...
조류에서
인간
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용하는데, 이는 high fidelity의 약자다 기계로 재생되는 음악이 실제 연주되는 음악과
인간
의 귀로 구분이 잘 되지 않을 정도로 충실히 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브라운관 TV는 형광면에 직접 빛을 쏘는 방식인 반면, 프로젝션 TV는 내부에 들어 있는 브라운관 또는 액정 패널에 맺힌 상을 반사경으로 ... ...
시험관 아기에 이상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정상 출산 쥐의 행동과 기억력 차이가 미미하지만 의미있는 연구결과”라면서도 “이를
인간
에게까지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시험관 수정으로 태어난 사람의 아기가 자라면서 자연 출산된 아기와 행동이나 기억력에 정말 차이를 보인다고 단언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것이다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그 주인공은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인
인간
유전체기능연구사업 중 ‘암관련 후보유전자 기능연구’ 과제의 연구책임자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임대식 교수와 송민섭 박사. 임 교수와 송 박사 연구팀은 인체 내에서 폐암, 위암, 간암, 뇌암 ... ...
이전
418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