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하는데, 이런 것도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당한 운동과 원만한
인간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머리 손상이 치매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여러 차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머리를 다쳤을 경우 방치하지 말고 바로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치매의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생각대로 행동하길 기대하는 것처럼. 사이버에서 진화하는
인간
은 점점 오프라인의
인간
과 비슷해지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네트워크의 중심은 누구? 유명 연예인의 인맥이 이렇다고 가정해보자(실제상황은 아님). 그리고 다음의 문제를 풀어보자.1. 바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웃이 가장 많은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런 큰 소음보다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들이 오히려 골칫거리다. 그렇다고
인간
의 편의를 위해 개발한 문명의 이기를 소음을 없앤다는 이유로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작지만 우리 생활환경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마 줄여보려는 여러가지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소음에 대한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 있다.
인간
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어느 순간 기후는 완전 뒤바뀔 수 있는 것이다.우리
인간
은 그동안 민감한 지구 기후의 심기를 얼마나 건드려온 것일까? 지구의 기후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기 전에 우리는 지금 미래세대를 위해 지구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지 않나 싶다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불을 뿜는 동물과 한집에서 사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닐 테니 어쩌면 우리는 지구상에서
인간
과 가장 가깝고 친근한 친구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단지 재미있다는 이유로 개가 불을 뿜는 세상을 쌍수 들고 환영할 수는 없을 듯하다. 신기한 개가 사는 세상은 재롱둥이 애완견과 함께 살던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조절하는 각종 해피드럭이 속속 개발돼 쓰일 전망이다. 이같은 추세는 최근 진행 중인
인간
유전체 해독과 더불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리라고 예상된다. 곧 건강 연령이 30세인 70대 할머니나 할아버지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춘추전국시대 맞은 해피드럭 시장해피드럭은 이제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탄생’(들녘), 앨런 와이즈먼의 ‘가비오따스’(말)는 성장과 파괴에 맞서 자연과
인간
공동체를 지키려는 세계 곳곳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있다.이 중 독일 슈투트가르트는 분지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오염을 친환경적 도시계획으로 이겨낸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슈투트가르트는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끝나기 전에 미국인의 손으로
인간
을 달에 보내자고 촉구했다. 장기적인 우주개발에서
인간
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만큼 중요한 과제가 없다고 하면서 아폴로 계획이라고 이름 붙인 유인 달 착륙 계획을 추진할 것을 발표했던 것이다. 이처럼 아폴로 계획은 소련에 무너진 미국의 자존심 회복이라는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때 분비된다.페로몬 이성에게 성적자극 신호를 보내는 물질. 동물에서는 발견됐지만
인간
에서는 아직 추출되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겨드랑이에 있는 내분비선에서 분비된다고 추측한다.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부신, 척수, 뇌에서 분비. 심장 박동을 빠르게 하고 성적 자극과 육체적 쾌감을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이종이식이다. 즉 동물의 장기를 대신 사용하는 것인데 주로 돼지나 개코원숭이처럼
인간
과 장기의 크기가 비슷한 동물이 주된 연구 대상이다. 이종이식은 면역거부반응이 워낙 강하고 인체에는 없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등 병균의 침투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아 아직 연구단계다.그러나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