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라는 연구 분야에서 각종 신체 기관을 인공적으로 구현해 대체함으로써, 사이보그형
인간
을 만드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또한 인공시청각 기술을 컴퓨터, 가전제품, 게임기 같은 IT 장비에 적용하면 장비가 사람을 보거나 소리를 들어 적절히 반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망막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조절하는 각종 해피드럭이 속속 개발돼 쓰일 전망이다. 이같은 추세는 최근 진행 중인
인간
유전체 해독과 더불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리라고 예상된다. 곧 건강 연령이 30세인 70대 할머니나 할아버지를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춘추전국시대 맞은 해피드럭 시장해피드럭은 이제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탄생’(들녘), 앨런 와이즈먼의 ‘가비오따스’(말)는 성장과 파괴에 맞서 자연과
인간
공동체를 지키려는 세계 곳곳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있다.이 중 독일 슈투트가르트는 분지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 오염을 친환경적 도시계획으로 이겨낸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슈투트가르트는 ... ...
문어도 자주 쓰는 '팔'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렇다고 8개의 다리가 기능면에서 차이가 있지는 않다. 단지 낯선 물체를 탐지할 때
인간
처럼 유독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팔’ 이 있는 것이다. 또 이런 ‘팔’ 은 주로 문어의 몸 앞쪽에 위치한 다리인 경우가 많았다. 몸 뒤쪽 다리는 주로 이동할 때 사용해 말 그대로 ‘다리’ 처럼 썼다.뷔르네 ... ...
동물도 눈치로 단어 배운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듣는 단어가 낯선 물체의 이름일거라고 추측하고 물어온 것.피셔 박사는 “단어습득력은
인간
의 고유한 언어학습능력이 아니라 동물도 갖고 있는 일반적인 인지능력임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즉 사물이 이름을 가질 수 있음을 동물도 깨달아 임의의 음향 패턴, 즉 발음된 단어를 특정 대상에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생각대로 행동하길 기대하는 것처럼. 사이버에서 진화하는
인간
은 점점 오프라인의
인간
과 비슷해지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네트워크의 중심은 누구? 유명 연예인의 인맥이 이렇다고 가정해보자(실제상황은 아님). 그리고 다음의 문제를 풀어보자.1. 바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웃이 가장 많은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런 큰 소음보다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들이 오히려 골칫거리다. 그렇다고
인간
의 편의를 위해 개발한 문명의 이기를 소음을 없앤다는 이유로 포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작지만 우리 생활환경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마 줄여보려는 여러가지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소음에 대한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끝나기 전에 미국인의 손으로
인간
을 달에 보내자고 촉구했다. 장기적인 우주개발에서
인간
을 달에 착륙시키는 것만큼 중요한 과제가 없다고 하면서 아폴로 계획이라고 이름 붙인 유인 달 착륙 계획을 추진할 것을 발표했던 것이다. 이처럼 아폴로 계획은 소련에 무너진 미국의 자존심 회복이라는 ... ...
03. 짝짓기 시장의 치열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성은 자식을 돌보지 않는 성의 입장에서 보면 일종의 귀한 ‘자원’ 이기 때문이다.
인간
의 경우 일방적인 선택보다 남녀간 상호선택이 일어난다. 이는 결혼상대 같은 장기적인 배우자를 선택하는 상황에서 특히 뚜렷하다. 남성은 짝짓기 시장에서 여성 배우자를 ‘구매’할 때 여성의 배우자 가치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빼놓을 수 없는 관심사다. 특히 리처드 르원틴의 ‘DNA 독트린’ 과 스티븐 제이 굴드의 ‘
인간
에 대한 오해’ 같은 대안적 관점을 가진 책을 소개할 수 있었던데 큰 보람과 즐거움을 느낀다고.최근 김 박사는 작심한듯 어린이를 위한 과학도서 시리즈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과학기술과 사회를 ... ...
이전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