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합니다. 하지만 장내미생물을 ‘제2의 게놈’이라고 부르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전자와 장내미생물을 종합하면 우리 몸의 생명활동에 대한 이해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질 것만은 사실이니까요.” 천 교수는 미생물의 특성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특히 장내미생물의 효과와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이어진 본 강연에서도 멀게만 느껴지던 첨단 기술이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왔고, 곧 우리의 삶을 바꿀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중력파를 주제로 강연을 한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중력파의 발견으로 새로운 천문학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집단의 목표와 개인의 욕구가 상충되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선택을 내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업, 배우자, 학교 등을 선택할 때도 개인의 의견이 역시 가장 중요하다. 반면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중요한 주체는 가족, 학교, 회사 등의 집단이다. 개인은 고유하고 개별적인 욕구를 가진 자유로운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들려는 순간 어디선가 들려온 낡은 기계장치 돌아가는 소리에 도로 잠이 깨고 말았다.생각보다 가까운 곳에서 들리는 소리. 은경이 베란다 쪽으로 돌아누웠다. 그런데 거기에 무언가가 서 있었다. 은경은 너무 소스라치게 놀란 나머지, 장르도 잊어버린 채 이렇게 외쳤다. “귀신이다!”물론 그것은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흐름에 비유하면 전지는 전자의 이차를 만드는 역할을 하며, 물레방아는 전자제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답니다. 전지가 높이차를 만들어 전자가 흐르면 전기에너지가 생기고, 이 전기에너지가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는 거예요.과학자들은 ‘전자의 위치(높이) 차이’를 줄여 ‘전위차’라는 이름을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관계다. 두 가지 매듭을 구분하려면 서로 거울 짝꿍 관계인 3차원 좌표 위에 있다고 생각하면 쉽다. 왼손과 오른손에서 각각 세 번째 손가락을 x축, 엄지를 y축, 두 번째 손가락을 z축이라고 가정하고, 세손가락을 서로 직각이 되게 펴면 된다. 이때 왼손으로 만든 좌표에서 x축의 회전방향으로 꼬이는 ...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929가 가장 큰 세 자리 회문 소수야. 겨우 세 자리 회문 소수를 찾는 걸로 엄살 피울 생각하지 마. 2014년에 발견된 가장 큰 회문 소수는 무려 47만 4501자리였거든!” 악마의 사인천사의 눈앞에 해골이 나타나더니 깔보는 말투로 천사를 비웃었어요.“여기 온 걸 보니 벨페고르가 낸 문제를 풀지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살고 있어요. 휴대폰 게임도 하지 않고, 아이들이 자는 시간에 무슨 일을 할지 항상 생각해요. 훗날 수학자가 되려는 여성의 삶을 이해해주고 공감해줄 수 있지 않을까요?”만약 3일간 휴가가 생긴다면 박 교수가 하고 싶은 일은 단연 ‘공부’다. 육아를 하기 전에는 문제 하나에 꽂히면 잠이 안 와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꿈 이야기를 노래와 함께 들려줬다. 이 날 교실은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는 장이 됐다.마지막으로 ‘모둠 세우기’ 수업에서는 모둠텐트와 모둠깃발 만들기, 모둠 풍선치기 대회 등으로 모둠원끼리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모둠 간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꼭 필요한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3395).Q. GMO 옥수수를 먹은 쥐가 암에 걸렸다는 에릭세라리니의 논 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프랑스 칸대 질-에릭 세라리니 교수는 2012년 9월, 2년간 글리포세이트 저항성 GMO 옥수수인 NK603을 먹은 쥐가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2~3배 빨리 죽었다는 결과를 ‘식품과 화학독성학’에 발표했다. ... ...
이전4094104114124134144154164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