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올해 6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제5회 세계고고학대회에서 발표했다. 전세계 고고
학자
2천여명이 모인 이 자리에 참석했던 영국 BBC 뉴스의 과학편집자인 데이비드 화이트하우스 박사는 지난 10월 21일 이 교수의 연구결과를 뉴스로 소개했다.“한동안 정신이 없었습니다. 르몽드를 비롯해 전세계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에 다윈 자신도 진보의 문제를 놓고 갈팡질팡 했듯이, 현대의 과
학자
들도 어쩌면 이미 내면화된 진보관과 다양한 생물학 이론들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안드로메다은하처럼 나선팔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19세기의 천문
학자
인 로세경이었다. 그는 이 은하의 모습이 S자형의 나선팔 형태로 이전 관측자들이 언급한 것보다 약 두배에 달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고 발표했다.오늘날 M33은 북반구 하늘에서 가장 훌륭한 나선팔을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모임?1960년대 후반, 유명한 천체물리
학자
칼 세이건의 아내였던 미국의 이론생물
학자
린 마굴리스는 ‘순차적인 세포내공생 이론’이라는 당시로는 도발적인 주장을 담은 원고를 저명한 과학출판사인 아카데믹 프레스에 보냈다. 수개월간 초조하게 답을 기다리던 그녀는 편집자의 서명도 없는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전된 입자인 이온과 중성 가스가 표면에 느슨하게 붙잡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과
학자
들은 목성의 자기권에서 온 대전 입자들이 얼음으로 뒤덮인 위성 표면에 부딪쳐 수증기와 다른 분자를 방출시켰을 것으로 예상했다.특히 갈릴레오는 행성처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위성 가니메데의 위력을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음성인식 타자기에 일부 실용화가 시도되고 있다Edwin Powel Hubble(1889∼1953) 미국의 천문
학자
1백인치 망원경으로 안드로메다 성운중의 세페이드를 발견, 그 거리가 90만 광년이며, 따라서 이 소용돌이 성운이 은하 밖에 있음을 입증했다 1929년 '20세기 천문학의 최대의 발견'이라 칭해지는 '허블의 법칙'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한 카페인의 신경독성을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로는 지난 1995년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
학자
들이 행한 거미실험이 있다. 연구자들은 거미를 카페인 등 향정신성 약물에 노출시킨 뒤 어떻게 거미집을 짓는지 관찰했다. 약물의 독성이 강할수록 거미집의 형태가 정상에서 벗어날 것이다. 아라네우스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
학자
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있다. 더 큰 문제는 부시가 말한 78개 세포주 가운데 쓸만한 것은 11개에 불과한 것. 해양
학자
에게 바닷물 한컵을 건네고는 “이것을 가지고 바다를 연구하라”는 격이다.행성 보호Planetary Protection Officer나사에는 지구와 다른 행성이 인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는 사람이 있다. 우주선이 지구의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다양한 방식으로 `‘기하학적 우주’를 표현하기 위해 애썼다. 화가이자 천문
학자
, 수
학자
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1452-1519)가 그 다음으로 나섰다. 다빈치는 중세를 거치며 오랫동안 잊혀졌던 그리스의 ‘완성체’(Perfect Bodies)의 개념을 복원한 정12면체의 우주형태설을 주창했다. ... ...
1 한국 노벨상 5-15년내 나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과
학자
들은 후보 추천권을 갖기 위해 대학과 연구기관에 지원하는 것보다는 우수한 과
학자
들이 눈치 보지 않고 마음껏 연구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한다. 이렇게 노벨상 후보가 될만한 사람들을 키워가다보면 자연스럽게 이들이 속한 연구기관도 후보 추천권을 갖게 되는 것이다 ... ...
이전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4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