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실험동물이 죽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프리온 질병 연구에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과
학자
가 도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 병에 대한 수수께끼는 모두 해결되지 못했다. 이 질병의 병원체가 바이러스와 프리온 단백질이라는 상반된 학설로 가주섹과 프루시너가 각각 노벨상까지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조정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작업이 성공할 확률은 아주 낮아서 일부 과
학자
들은 그와 같은 미세 조정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결론적으로 말해서 타임머신을 만드는 것은 장애물들이 많으므로 겉보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생각된다. 하지만 손가락으로 뚫은 구멍을 통해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전에는 태양이나 달, 별의 모양이나 움직임을 보고 대략적인 시간 약속을 했을 것으로
학자
들은 추측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선장 일행도 기지를 찾아내 폴레섬에 남아있던 선원들 모두가 구조됐다.한편 영국 지질
학자
다글라스 모슨은 동남극 조지 5세 랜드를 조사했다. 그는 1912년 11월 동료 두명과 개 썰매 3대를 타고 탐험에 나섰다. 그러나 12월 14일 기지에서 5백km가 넘는 곳에서 동료를 태운 썰매 1대가 크레바스(빙하 속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학문을 단순히 ‘인문학의 분야’로만 묶어둘 수 없는 이유, 과학에 뿌리를 둔 역사
학자
들이 있어야 하는 이유다. 달력의 참 의미 또한 지금 우리는 거의 의식하지 못하지만 실상 달력은 문명의 독자성 또는 주체성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오늘날에도 자신의 달력을 고집하는 나라들이 적지 않다. ... ...
신나는 콘서트, 즐거운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계기로 ‘과학동아’의 ‘시네마 사이언스’ 코너를 맡아 4년 동안 연재한 글이 ‘물리
학자
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가 됐다면, 늘상 품고 있던 “세상은 얼마나 복잡한가?”라는 질문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엮은 책이 ‘과학 콘서트’였다. 그래서 ‘과학 콘서트’의 원래 제목은 ‘세상은 ... ...
망원경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볼 수 없는 별들도 적외선에서는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미항공우주국(NASA)은 천문
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망원경을‘스피처’로 정식 명명했다 ... ...
부족한 백신, 누구에게 접종?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발생했는데 백신이 충분하지 않다. 이럴 경우 누구에게 백신을 접종시켜야 할까? 물리
학자
가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네트워크 이론으로 사람들의 구체적인 정보 없이 슈퍼전파자를 찾아내 백신을 접종한다는 것.질병 전파를 차단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많은 사람과 접촉하는 이에게 백신을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의 시작이 있다는 것 역시 과
학자
들의 가정일 뿐이다. 소광희 교수의 말대로 과
학자
는 가정으로 먹고사는 셈이다.끝은 존재하는가?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시간의 끝은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조용민 교수는 “현재의 우주가 어떠한지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전압을 가하면 일정한 진동수로 진동하는 ‘압전효과’라는 것이 있다. 이 효과는 물리
학자
이자 방사선을 발견한 퀴리 부인의 남편인 피에르 퀴리가 발견했다. 이 효과를 이용한 시계가 만들어지면서 그 이전의 가장 좋은 진자시계보다 훨씬 정확한 시계가 등장하게 됐다.수정시계가 발명됨으로써 2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