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적용은 어렵다는 얘기다.생명체가 오래 전에 만들어 놓은 자연의 발명품 광구조가 과
학자
들의 손끝에서 화려하게 변신할 날도 머지 않았다.몰포나비 날개 파란색의 비밀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빛, 즉 가시광선은 파장이 4백-7백nm(나노미터, 1nm= ${10}^{-9}$nm) 사이로 보라색에서 빨간색까지 무지개색 ... ...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불빛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밤하늘 보기가 더 수월해진다.16세기초 이탈리아 천문
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한 역사상 첫 인물이다. 그가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 주위를 맴도는 4개 행성을 발견한 뒤로 좀더 밝게, 좀더 멀리, 좀더 세밀히 우주를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낙하산을 타고 미국 유타사막에 떨어질 예정이다.이 계획의 책임자인 미국 워싱턴대 천문
학자
도널드 브라운 교수는 “혜성 물질은 태양계 생성 초기 상태를 간직하고 있다”며 “이를 연구하면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지구에 생명체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낼 수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다시 아래로 떨어지면서 대기층을 튕겨가는 방식을 되풀이한다. 리버모어연구소의 과
학자
들은 비행기가 이런 식으로 18번의 물수제비를 뜨면 시카고에서 로마까지 72분에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물수제비를 실제로 활용한 예도 있다. 2차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영국군은 독일 루르지방의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
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20여년전 파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나이를 속이고 출품한 유치원생의 그림이 성인들의 작품을 제치고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당연히 프랑스 화단은 ... 것이다. 게다가 이런 탐구가 가져올 유용성도 무척 커 보인다. “뛰어난 예술가는 뛰어난 과
학자
이기도 하다”는 말이 실감나는 순간이다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마디로 “초상화에서처럼 강렬한 눈빛은 어디에도 없었다”고 증언했습니다. 또 골상
학자
들은 깎아지른 듯한 이마는 유럽인보다는 아메리카 인디언에 가까운 형태라고 분석했습니다. 과학계 초대 얼짱은 이렇게 탄생한 것입니다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등장하면서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은 암흑기를 맞았다. 그 후 1920-30년대 집단유전
학자
들이 종 간의 작은 차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엄청난 차이가 된다는 것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증명했다. 이런 움직임이 다시 자연선택 이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됐다.이보디보(evo-devo)진화와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실험이 진행된 7일간 나노입자의 농도는 꾸준히 증가했다.영국 에딘버그대 독물
학자
인 켄 도날드슨 박사는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보여주는 최초의 사례”라고 말했다.연구자들은 냄새물질과 결합한 탄소나노튜브가 ... ...
액취 없애려다 유방암 걸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방부제 ‘파라벤’이 유방암 조직에서 검출돼 논란이 일고 있다.영국 레딩대 분자생물
학자
필리파 다브레 박사팀은 20개의 유방암 조직 가운데 18개에서 이 물질이 확인됐다고 ‘응용독성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물질의 평균 농도는 조직 1g당 20.6ng(나노그램, 1ng=${10}^{-9}$)이었다.파라벤은 ... ...
남북한 공동 식물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큰 도움이 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국경 없이 자유롭게 자라는 식물처럼 과
학자
들이 남북한을 오가며 5-6년 후 한반도 식물지 완성이라는 결실을 맺는다면 뜻깊은 남북협력 연구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