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도핑’은 나쁘기만 한 걸까요
2015.03.10
전자의 농도를
조절
하는 원리를 이용해 단위 면적(㎠) 당 1000억 개 이하로 정공 농도를
조절
하는 데 성공했다. 이전까지는 단위 면적 당 전자를 1조 개 이상의 농도로만 도핑이 가능했다. 얼마나 섬세하게 도핑을 할 수 있는지 결정하는 도핑 정밀도가 10배 이상 증가했다는 뜻이다. 이렇게 도핑 된 ... ...
달팽이관은 고음과 저음을 어떻게 구분하나
2015.03.10
발표한 바 있다. 이번에 복 교수팀이 발견한 Shh는 이들 신호물질을
조절
하는 더 근본적인 단백질이다. 복 교수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주파수 특이적 난청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 ...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박사팀은 미시간주립대와 공동으로 우주의 성단 내부에서 생성되는 별의 개수를
조절
하는 원리를 새롭게 발견했다. 별은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성단에서 태어난다. 성단이란 은하계처럼 별과 행성들이 모여있는 집단을 말하는데, 성단의 온도가 낮으면 새로운 별을 만들고, 그 과정에서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2015.03.04
빠져나와 체내로 흡수된다. 문 연구원은 “재료 표면을 플라스마로 처리하는 시간을
조절
해 원하는 크기의 나노 통로를 만들 수 있다”면서 “DNA나 단백질을 통로에 일렬로 배열시키면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 ...
차세대 저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백금(Pt), 산화실리콘(SiO2) 등을 쌓아 나노자석을 만든 뒤 이 나노자석이 산화되는 정도를
조절
해 구동전력을 절반 이하로 낮춘 차세대 스핀-오빗 메모리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한 스핀-오빗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해 1나노초(ns) 이하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 ...
바람만 불어도 아픈 통풍, 치료 단초 찾았다
2015.03.02
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팀은 SHP가 염증을 일으키는 ‘인플라마솜’의 활성 정도를
조절
해 염증을 억제하는 기작도 함께 확인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SHP를 이용해 난치성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증명한 첫 사례”라며 “현재 치료제는 특허 출원한 상태이며 임상시험 등의 과정이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것이다. 또 인공구조물의 내부형태를 변화시켜 신호의 증폭률과 공진주파수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렇게 키운 음파를 즉시 전기신호로 바꿔 송·수신하면 고감도 마이크나 엠프 같은 음향 증폭장치 없이 즉시 소리를 녹음한 뒤 전송할 수 있다. 작은 장치로 훨씬 깨끗한 음파를 ... ...
파검 vs 흰금 드레스 논쟁…끝나지 않은 의문
2015.03.01
인식하지 못하는데요. 우리 뇌는 부족한 로돕신으로도 파란색을 보기 위해 감도를
조절
하는 등 서서히 ‘적응’을 하게 됩니다. 그 사이 로돕신이 충분히 만들어지면 파란색을 다시 제대로 볼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로돕신이 회복되기까지 잠깐의 시간 동안, 우리는 잔상효과(afterimage)를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WADA)는 차폐물질만 검출돼도 도핑을 한 것으로 간주해 처벌한다. 약물의 양을
조절
해서 도핑을 피하는 방법도 있다. ‘피라미드’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약을 꾸준히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훈련 기간에는 정상 복용량의 10배에서 100배까지 복용해 효과를 극대화하고 난 뒤, 대회 전후로는 먹지 않아 ... ...
스마트폰으로 오존, 자동차 매연 측정 척척
2015.02.24
만들었다. 이 기술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금속을 가열해 기체 흐름을
조절
하면 스마트폰 등에 내장해도 표가 나지 않을 만큼 작은 초소형 가스측정 센서를 만들 수 있다. 여러 종류의 금속산화물를 나란히 배열하면 다양한 기체를 정밀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