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생아 ‘
조절
T세포’ 효과 첫 입증
2015.03.20
면역세포는 필요에 따라 자기 몸의 세포를 파괴하기도 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세포를 무찔러 우리 몸을 지킨다. 하지만 면역세 ...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성체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보다는 신생아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 ...
‘사랑하면 죽는 병’ 막아주는 생체물질 발견
2015.03.19
사실을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냈다. 특히 PDE9가
조절
하는 cGMP는 기존의 PDE5가
조절
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동익 박사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PDE5와 PDE9를 동시에 활용하면 비후성 심장 질환을 포함한 심부전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 ...
아토피, 천식…난치성 알레르기 질환 완치되나
2015.03.18
피부 부위 등을 떼어내 반응성을 떨어뜨린 후 다시 이식을 받는 방식이다. 김 교수는 “
조절
B세포와 비만세포의 결합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억제 현상을 규명한 것은 세계적으로 처음”이라며 “음식 알레르기,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연구에 적용가능 할 ... ...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백내장, 원인은 ‘노화’
동아닷컴
l
2015.03.18
2011년 240만 2340명으로 4년간 18.88% 상승했다. 백내장은 눈 속의 수정체(눈에 들어오는 빛을
조절
해주는 볼록렌즈 모양의 조직)가 혼탁해지는 질환이다. 수정체가 혼탁해지면 빛이 수정체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해 사물이 뿌옇게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건이나 글자를 제대로 분간하기 어렵고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기체로 끓는 순간 단백질 반응도 정지하기 때문에 모세관으로 물방울을 흡수하는 시간을
조절
하면 단백질 반응 과정 중 어느 순간이든 자유롭게 관찰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드라마나 영화 같은 영상을 보는 도중 화면을 멈추고 ‘캡처’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 방법을 이용해 연구팀은 단백질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조절
하자 원하는 형태로 입체구조가 만들어졌다. 김 교수는 “반응물질의 농도를
조절
하는 것만으로 정교한 3차원 나노구조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압력의 차이를 인식하는 고성능 센서,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하는 광소자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 ...
암 조기 진단 가능한 광학현미경 개발
2015.03.16
개략도. CASS 현미경은 파장대역이 넓은 레이저 광원(SLD)을 이용한 간섭계와 입사각을
조절
할 수 있는 공간광변조기(SLM)로 구성돼 있다. - 고려대 제공 이 현미경을 이용하면 보다 쉽게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암세포의 약 80% 정도는 사람 피부나 장기 외피의 1~3mm 깊이에 있는 세포에서 발생한다. 기존 ... ...
심장 건강의 원흉은 야식이었어!
2015.03.15
제한이 심장 건강에 효과적인 이유가 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일부 단백질과 생체리듬
조절
유전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능을 제거한 다른 돌연변이 초파리에게서는 음식 섭취가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기 때문이다. 슈로브로츠 길 솔크연구소 연구원은 ... ...
고혈압 치료법 단초,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3.13
결과 혈압을
조절
할 수 있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황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혈압
조절
에 매우 중요한 Rgs2 단백질의 분해과정을 명확하고 상세히 규명한 것”이라며 “앞으로 고혈압뿐 아니라 뇌졸중, 동맥경화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전망된다. 또 콜라겐이나 젤라틴 등 다양한 생체고분자를 이용해 두께나 투과도를
조절
한 맞춤형 투과막도 만들 수 있다. 김 교수는 “장기적으로 화장품 및 신약개발 과정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나노입자 필터나 센서, 촉매와 배터리 제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