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호~ 빛-열 이용해 나노반도체 도핑
2015.03.30
기술을 나노반도체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박 교수는 “빛과 열에너지를 이용해 농도
조절
범위를 확대시킨 이 신개념 도핑 기술로 차세대 2차원 나노반도체 소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ACS 나노’ 2월 19일자에 실렸다. 나노반도체를 빛과 열에너지를 ... ...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타는 듯한 고통이 느껴졌다. 즉 단순히 자세가 아닌 자극의 상대적인 위치가 통증을
조절
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자극을 느끼는 위치의 변화가 고통을 지각하는 뇌 신경회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했다. 패트릭 해거드 런던대 교수는 “만성적인 통증을 느끼는 환자들 중 ... ...
값싸고 휘어지는 저가 태양전지 나온다
2015.03.29
한번 6%까지 효율을 끌어올렸다. 전기가 흐르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과 구조를
조절
한 덕분이다. 6%의 발전 효율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 된 플라스틱 태양전지 중 가장 높다. 김 교수는 “고분자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유연성이 필요한 휴대용 차세대 전자소자의 에너지원으로 응용할 수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2008년에도 뇌암줄기세포가 뇌종양의 원인이며 ‘ID4’라는 단백질이 암의 진행을
조절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악성 뇌종양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뇌암 환자로부터 암줄기세포를 분리한 다음 형광단백질을 주입했다.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방법을 찾아냈다. 경화되는 부분을 산소를 이용해
조절
하면 빛에 반응하는 부위를
조절
할 수 있게 돼 입체적인 회로를 자유롭게 그릴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더 발전시키면 반도체 제조공정 이외에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패치형 약물 전달체, 물과 기름에 젖지 않는 ... ...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KAIST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팀은 세브란스 병원 김동석 교수팀과 공동으로 약물로
조절
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간질)의 원인을 밝히고 새로운 유전자 치료법 역시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뇌전증은 세계적으로 5000만 명 이상에게 발생하는 뇌질환이다. 약물로는 근본적 치료가 어렵고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건강에 나쁘다고 할 수 있을까요? 체질이야 개인에 따라 다른 것이니 알아서 식단을
조절
하면 될 문제입니다. pixabay 제공 ● 글루텐프리 식단으로 살 못 빼 지난해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지’에 글루텐프리 식단이 일반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정리한 논문이 실렸습니다. 글루텐에 대한 몇 ... ...
엄청 강한 자석은 소리와 열을 휘어버린다?
2015.03.24
연구팀은 “이전까지 자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음향양자를 자성을 이용해
조절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면서 “음향양자가 열뿐 아니라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도 하는 만큼 자기장을 이용해 소리를 반사하거나 차단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 밝혔다. 연구결과는 ... ...
여름손님 수족구병 ‘봄의 공습’
동아일보
l
2015.03.23
가라앉는다. ○ 통증 심하면 음식 차게 먹어야 수족구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면 열을
조절
하고 청결을 유지하면서 입에 생긴 구내염을 치료해 주는 것이 좋다. 입안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아이가 식사나 물 마시기가 힘들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뜨겁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유동식이나 소화가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주로 합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합성 조건에 따라 껍질의 두께와 주기를 자유자재로
조절
하는 데 성공했다. 가스 주입량이 많아지면 나노선 껍질의 주기가 짧아지고, 온도를 높이면 껍질의 주기가 길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박 교수는 “나노선 합성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를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