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전고체 전지 성능·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보호층을 만들었다. 이 층은 리튬을 전달하는 특성이 우수해 무분별한 전착을 막고 음극
표면
하단부터 리튬이 균일하게 전착되는 하면 전착을 유도했다. 리튬의 무분별한 전착을 막아 리튬의 고갈되는 속도를 늦춘 것이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한 분석에서도 리튬 이온이 안정적으로 전착 ·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행성 원반인 'd203-506'을 관측해 얻은 성과다. 연구팀은 d203-506에서 원시 행성 원반
표면
이 강한 자외선의 영향을 받는 영역인 광해리 영역(PDR)을 관측한 뒤 분석했다. 이를 통해 d203-506이 원자외선의 영향으로 아주 빠르게 질량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계산 결과 d203-506에서 질량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연구자들은 탄소나노튜브를 일렬로 배열한 시트 형태로 양극 골격을 만들어 그
표면
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게 하자 과산화칼슘이 만들어졌다. 분석 결과 탄소나노튜브의 전자전달 메커니즘이 산화칼슘보다 과산화칼슘이 되는 쪽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전해질에는 칼슘이온을 ... ...
[과기원NOW] KAIST, 암과 루게릭병 등 난치성 질환 새로운 발병 메커니즘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나타내도록 했다. 입사각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됐다. 실험 결과 연구팀의 메타
표면
은 좌원편광에 대해 '+35도'와 '-35도'에서 서로 다른 입체 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최근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이재성·장지욱·석상일 ... ...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장관상과 부상으로 상금 500만 원을 받았다. 투명망토 물질로도 유명한 메타
표면
은 빛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인공 물질로 기존 렌즈 두께를 1만분의 1로 줄일 수 있어 가상 · 증강현실 기기나 라이다(LiDAR)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력이 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제설이 편리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제설제가 만능인 것은 절대 아니다. 도로
표면
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제설제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처음부터 눈이 녹지 않으면 제설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도로에 살포한 염화칼슘이 녹지 않고 남아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있었다. 그람음성균은 세포막에서 만들어진 LPS를 단백질 사다리를 통해 외막으로 운반해
표면
에 배치한다. 비유하자면 세포막과 외막이 각각 1층 침대와 2층 침대이고 둘 사이에 사다리가 놓인 셈이다. 조수라발핀은 LPS를 운반하려고 하는 단백질 사다리에 달라붙어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 결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사용한다. 불소는 우리 건강에 꼭 필요한 영양 성분은 아니다. 그러나 불소가 치아
표면
의 에나멜을 단단하게 만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순수한 상태의 이원자 분자인 불소(F2)는 연한 황록색의 기체로 인체에 강한 독성과 부식성을 가지고 있다. 다행히 맹독성의 불소는 자연 상태나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부하 조건에서 높은 접착력과 접착 가역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스탬프를 사용해
표면
이 거칠고 구 모양의 입체 구조를 가진 물질을 정확하게 전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테크놀로지스' 최근호 뒷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선정 및 발표한다. 노 교수의 기술은 나노미터 규모로 미세하게 패터닝된 메타
표면
과 빛을 이용해 거리를 인식하는 차세대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안 교수의 기술은 자외선과 플라즈마를 사용해 2차원 소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매우 얇고 균일한 원자층막 증착을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