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스페셜
"
생각
"(으)로 총 2,9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분노들이 모여 세상을 바꾼다
2025.01.11
적개심, 분개하는 것 모두 공격성을 유발하는 감정들이다. 따라서 흔히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
하기 쉽지만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각 감정들 사이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 이 중 '화'는 가장 흔히 나타나는 감정으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해를 입은 경우에 발생한다. 어떤 사람 또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아는 것, 목표 달성 성패 가른다
2025.01.04
통해 끊임없이 업데이트하는 과정인만큼 내 삶 전반을 돌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다는
생각
이 든다. 내가 너무 힘이 들어 손가락을 까딱 할 여유조차 없다면 우선 내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먼저일 테니까. 또한 이런 피드백 프로세스는 한두 번이고 백 번이고 일어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맡겨두는 것이 순리다. 교육부가 모든 것을 틀어쥐고 엄격하게 관리해야만 한다는
생각
은 오래전에 버렸어야 했던 권위주의 시대의 낡은 유물이다.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교육철학과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억지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
2024.12.21
해결해가는 방식보다는 내가 괴로우니 다른 사람들도 다 같이 망해버렸으면 좋겠다는
생각
이 주가 된 거 같기도 하다. 기성 세대가 올바른 남성성에 대한 표본을 보이는 데 실패한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정체성에 위협을 자주 받거나 자신이 지키고 싶은 자아상이 무너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핵에 길 잃은 과학기술·교육·의료개혁
2024.12.18
기대도 만만치 않다.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과학기술에 대한 무관심은
생각
보다 훨씬 심각하다. 미국의 과학자들은 트럼프 1기를 '암흑의 터널'로 기억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은 확실하게 실패했다. 전 세계에 생중계된 백악관의 기자회견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게 주요 원인 같지만 이 역시 0.02℃를 높이는 정도다. 기후학자들이 머리를 짜내
생각
해낸 다른 요인들을 보면 먼저 11년 주기의 태양활동이 최대에 가까워 햇빛이 강해진 것으로 온도 상승 기여도는 0.03℃ 수준이다. 다음으로 2022년 해저화산 훙가통가훙가하파이 폭발로 엄청난 양의 수증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엄군에 맞서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
2024.12.07
무엇이란 시대에 따라 또 사람마다 다 다를 수 있다. 우리는 다 각자가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 가치를 지키기 위해 조금 또는 많은 위험을 감수하며 살아가고 있다. 자신의 가치관이 달린 문제라고 해도 위험하면 가만히 있는 것이 더 이득일 것 같지만 사람이라는 존재는 어떤 가치관을 확립한 이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조금 못 자더라도 살 수 있다"
2024.11.30
그렇지 않은 날도 있는 것이 정상이며 그렇지 못했다고 해서 뭔가 큰 일이 날 것처럼
생각
하지는 말라는 것이었다. 아예 하루를 꼬박 새고 언젠가 졸음이 올 때 푹 자는 것이 더 생체리듬을 돌리는 데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얘기와 함께 하루의 상쾌함을 결정하는 데에는 다양한 요소가 있으며 '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때만 해도 필자는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은 선진국에 달렸다고
생각
했다. 1인당 배출량이 워낙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세계 인구의 4%인 미국은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5%를 차지해 1인당 세계 평균의 6배를 내보내는 배출국 1위였다. 여기에 유럽의 선진국, 일본, 캐나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내년 3월 도입 AI디지털교과서, 미완성 기술에 교육 맡기나
2024.11.20
있었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학생이 "
생각
하지 않고 너무 빨리 답을 얻고 나서 딴
생각
을 한다"는 것이 교사의 평가였다. 학생들은 디지털 기기에서 읽은 내용을 거의 기억하지 못했다. 학생 맞춤형 교육을 추구하는 AI 디지털 교과서가 교사에 따라 학습 편차를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