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확정"(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 때문이다. 불확정성원리에 따르면 위치와 운동량의 부정확도의 곱이 플랑크상수(h)보다 커야 한다. 양자역학에서는 플랑크상수의 크기까지만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런데 프랙탈은 무한히 확대될 수 있다는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한 번쯤은 들어봤을 물리학 이론을 빈 공간이라는 개념에서 접근한다.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가 튀어나오는가 하면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이 주인공이 된 힉스가 등장하기도 한다. 저자가 일상에서 느끼던 빈 공간에 대한 소소한 에피소드도 향신료처럼 등장해, 어지러운 빈 공간에서 헤메는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불완전성정리와 함께 과학과 수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예로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불확정성원리는 양자역학을 이끌어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가정이며, 이렇게 얻어진 양자역학은 인간이 만든 그 어떤 이론보다 정밀한 결과를 준다 ...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公理)가 된다. 지금도 신은 주사위를 던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도 아주 자주! 하지만 불확정성 원리에는 하이젠베르크도 생각지 못한 미묘한 부분이 있었으니,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 ...
- 양자역학이 무거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급의 업적을 하나씩 남겼는데, 이름부터 위엄이 대단하다. ‘코펜하겐 해석(보어)’, ‘불확정성의 원리(하이젠베르크)’, ‘파동방정식(슈뢰딩거)’, ‘파동역학(보른)’, ‘행렬역학(디랙)’…. 한 명의 천재도 상대(?)하기 버거운데, 이쯤 되면 포기하고 싶어진다.지금까지 양자역학에 관심을 ... ...
- Part 3.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묶는 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크기의 미시 세계에서는 힘을 잃는다.한편, 20세기 초 나온 양자역학은 물체의 운동에 불확정성이 있다는 또 다른 실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난 이론이다. 주로 기본입자,원자핵, 원자, 분자 등 미시 세계에 적용된다. 그러나 반대로 양자역학을 중력이 있는 경우에 적용하면 아주 큰 어려움에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있다면 한 쪽에 치우칠 확률이 높다(한 쪽이 더 많이 나오니 맞출 확률이 높아지고, 불확정성은 준다). 정보이론에서는 반반이 나올 경우를 정보 엔트로피가 가장 높다고 보며, 이때의 정보가 왜곡이 없기 때문에(동전이 휘지 않았다) 신뢰성, 안정성 등 ‘정보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본다. 다시 말해 ...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인플레이션’ 이론이 있다. 이것은 인플라톤 입자가 ‘모든 상태가 가능한’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때문에 에너지 상태가 낮은 상태로 고정되지 않고 변덕스럽게 변해서다.이런 인플라톤 장의 요동 때문에 우주에는 인플라톤 에너지의 크기가 미세하게 다른 지역이 여기저기 마구 섞여 있게 된다. ...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결론 지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는 “불확정성 원리 가운데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에 대한 부분을 해석해서 새로운 식을 만든 연구”라며 “의미가 있는 연구지만, 양자역학을 깰 정도의 내용은 아니다”고 말했다. [입자의 스핀을 더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공간은 에너지와 시간 둘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에 위배된다. 따라서 우리가 생각하는 완전한 무는 존재할 수 없다.아인슈타인이 “도깨비 같은 원격 작용(spooky action at a distance)”이라고 신랄하게 비판한 양자역학의 성질, 바로 ‘얽힘(entanglement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