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불확정"(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암호통신의 별명이다. 얽힘과 중첩, 불확정성과 비가역성까지, 양자의 네 가지 성질 덕에 양자암호통신을 해킹하기란 불가능하단 의미에서 붙었다. 양자상태를 보내는 양자전송은 흔히 ‘양자의 순간이동’이라고도 불린다. 양자가 뭐길래 이런 거창한 별명이 붙는 것인지 그 원리를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앞면이 나올 확률은 50%, 뒷면이 나올 확률이 50%라고 예측할 수는 있죠. 이게 양자역학의 불확정성입니다. 관측 이전에는 양자가 어떤 상태를 보일지 알 수 없어요. (동전을 던지는 예시에서 ‘관측’은 던진 동전이 바닥에 닿아 앞면 혹은 뒷면이 결정되는 순간입니다.) 동전을 던지면 동전이 ... ...
- [이달의 책] 다이얼로그 물리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몰라 혼돈에 빠질 것이다. 사용하는 언어도 어렵다. 관성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 불확정성의 원리 등 물리학의 대원칙들은 수학 공식으로 표현한다. 각종 기호와 수식 속에 숨겨진 의미를 읽는 눈 없이 물리학을 이해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그러나 물리학은 아름답다. F=ma란 짧은 공식 하나로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전자를 입자로 가정해 운동을 기술하려 만든 행렬역학 수식이다. 불확정성 원리에 따르면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관측량, 예를 들어 위치와 가속도는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하이젠베르크는 이 두 가지 물리량으로 운동을 기술하는 대신 진동수와 세기를 ...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양자역학은 고전역학으로 풀이할 수 없는 미시세계의 물리현상을 설명한다. 그런데 최근 고전역학으로 설명하지 못한 거시세계의 현상 ... 양자얽힘에 의해 일어난 거라면, 두 조각의 위치와 운동량을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불확정성의 원리를 깰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bf538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표현한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고 설명했습니다.김 작곡가는 프랙털 이외에도 알고리듬, 불확정성의 원리 등을 이용해 과학과 음악을 엮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모든 곡을 작곡할 때 항상 수를 계산한다고 하네요. _ 인터뷰김택수 작곡가 “사회가 만든 틀을 깨면 새로운 세상이 ... ...
- [원주율] 수학에서만 쓰이냐고? NO! 모든 길은 원주율로 통한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원의 둘레와 넓이를 구할 때만 원주율을 쓴다고 생각했나요? 저, 원주율은 수학을 도구로 쓰는 대부분의 학문에 등장해요. 간단한 물리 현상부터 진자 운동이나 양자 역학의 불확정성 원리, 유체역학, 전자기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죠.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1926년에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슈뢰딩거가 발표한 ‘불확정성 원리’에 기초해요. 불확정성 원리는 전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이론이에요. 이에 따르면 원자핵 둘레를 돌고 있는 전자의 위치는 알 수 없으며 오직 확률로만 계산할 수 있답니다. 따라서 보어가 주장한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원리’다. 우리의 측정기술이 시원치 않아서 알 수 없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그렇다.불확정성 원리를 제안한 하이젠베르크는 그 이유를 ‘측정’때문이라고 봤다. 원자세상에서는 내가 대상을 보는 것만으로도 교란이 일어난다. 본다는 것은 최소한 빛이 대상을 때려야 하는데, 전자는 빛과의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첩’ 상태로 유지된다. 양자의 대표적인 특성이다. 양자컴퓨터는 이런 큐비트의 ‘불확정성’을 이용해 연산하기 때문에, 엄청나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번에 병렬 처리할 수 있다. 1982년 파인만이 양자컴퓨터를 처음 제안했지만 30여 년이 지날 때까지 양자컴퓨터는 미지의 영역이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