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확실
불안
부정
스페셜
"
불확정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UNIST, 친환경 유기 배터리 수명 늘리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머릿속 생각으로 진행하는 사고실험 중 하나로 양자가 지닌 '파동-입자 이중성'과
불확정
성 원리에 대한 특성을 보여준다. 양자의 특성을 측정하거나 감시하는 행위가 양자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사용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지난달 19일 온라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얽힘, 유령 같은 원격작용
2022.03.17
값을 갖는다. 이때 스핀의 경우 x-방향 성분과 y-방향 성분, z-방향 성분들 사이에는 모두
불확정
성의 원리가 적용돼 이들 중 두 성분을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EPR 모순에 큰 돌파구를 만든 것은 영국 출신의 존 스튜어트 벨이었다. 벨은 1964년 봄의 논의를 발전시켜 거기에 적용되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불확정
성 원리를 둘러싼 논란
2022.01.20
달라지니까 그 속의 시간이 달라진다. 여기서 아인슈타인이 생각지도 못한 시간에서의
불확정
성이 개입하게 된다. 보어의 연전연승은 곧 양자역학의 승리이기도 했다. 물론 아인슈타인이나 다른 반대편의 과학자들은 여전히 양자역학의 모순을 찾는 일을 포기하지 않았다. 어쨌든 이런 일련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측정하는 순간 상태 바뀌는 까다로운 양자, 빛으로 붙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측정 자체가 입자의 물리량에 영향을 줘 두 가지 물리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는
불확정
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입자의 양자역학적 상태를 측정하면서 동시에 이를 제어하기가 매우 어렵다. 빛에 잡혀 있는 나노입자는 점점 빛을 흡수해 ‘양자 바닥상태’에서 벗어난다. 양자 바닥상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물리학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에서 따온 신조어다. 양자역학에서
불확정
성 원리란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원리다. 주스는 청각피질 역시 소리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주파수 패턴을 동시에 정확히 분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좌뇌와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수십 년 동안 논쟁이 진행된 것도 사고실험 덕분이다. 양자역학이 태동하던 초기
불확정
성 원리 등을 옹호했던 보어와 여기에 반기를 든 아인슈타인의 불꽃 튀는 논쟁 또한 사고실험으로 진행되었다. 사고실험은 과학적 사고의 축약된 결정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갈릴레오는 그 원조 격에 해당하는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참석한 하이젠베르크(왼쪽)와 보어. 이들은 부자와도 같은 친밀한 사이였다. ● 방문도
불확정
성의 원리로 설명? 필자는 연극을 보기 전에 먼저 희곡을 읽어보려고 인터넷 서점에서 검색을 해봤지만 아쉽게도 번역돼 있지 않았다. 별 수 없이 원서 이북을 사서 다운받아 읽어봤다. 희곡의 대화를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여러 가지 상태가 동시에 하나의 입자에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흔히 이야기하는 양자의 '
불확정
성'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어떤 양자컴퓨터가 전자의 스핀을 큐비트로 이용한다고 생각해보자. 연산을 시작하기 전의 전자는 양자컴퓨터 내에서 전자가 지닐 수 있는 스핀의 값인 +1/2, -1/2을 모두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입자성이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것과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불확정
성의 원리의 바탕이 되는 철학이라고 볼 수 있다. ‘코펜하겐 해석’이라고 불리는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양자역학 해석에 대해 양자론의 창시자인 막스 플랑크를 비롯해 광전효과를 발견해 큰 기여를 한 ... ...
창과 방패의 대결...컴퓨터 보안의 역사
KOITA
l
2013.05.03
서로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니고 작동하므로 정확한 암호화와 복호화가 가능하다. 게다가
불확정
성 원리에 따라 암호화된 정보를 전달하는 동안 도청이 되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현실과는 동떨어져 보이는 양자 이론이 적용된 방식이라 얼른 실감이 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국내에서도 2004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