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말
파우더
파우
싸라기
싸락이
입자
엿기름가루
d라이브러리
"
가루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07
”한참 작업이 진행되던 중에, 치클이 특이한 신호를 보고 말했다.“황제 폐하, 물과
가루
속에서 다른 생명체가 발견되었습니다. 크기는 200마이크로미터 이하 입니다.”치클은 황제에게 물과 분유 속에서 발견된 세균 따위를 보여 주었다.“아주 작은 생명체로군. 토착 생명체에게 끼칠 영향은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06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 중국과 왕래가 잦았던 한반도에도 이와 비슷한 음식이 있었다. 밀
가루
반죽을 효모로 발효시킨 한과도 여럿 있었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 빵의 기원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이전일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빵 역사를 좀 더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06
하지만 알랭 상셰 쉐프는 술을 이용하는 두 번째 방법을 따르자고 제안했다. 카무트 밀
가루
에 물 대신 맥주를 붓고, 막걸리에서 얻은 발효종을 넣었다(발효종을 만드는 자세한 과정은 3파트 참조). 고루 섞은 반죽을 둥글게 굴린 다음, 제빵실 테이블에 아무렇게나 두었다. 상온에서 알아서 부풀어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06
토실토실하면서도 탱탱했다. 상셰 제빵장은 통통하게 살이 오른 반죽 표면에 고운 밀
가루
를 뿌렸다. 그리고 칼로 반죽의 표면에 일자, 또는 나뭇가지 모양을 그었다. 빵이 숨을 쉴 수 있는 자리란다. 그리고 반죽들은 235~242℃로 예열된 오븐으로 들어갔다. 오븐 안에서도 빵들이 부풀어 오르는 모습이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배달할 수 있답니다.최근에 드론이 더욱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어요. 꽃들 사이에서 꽃
가루
를 옮겨 주는 초소형 드론부터 사람이 타서 전쟁과 자연재해 현장에 출동할 수 있는 거대 드론까지 수많은 종류가 개발되고 있지요.기자단 친구들은 직접 조립을 하는 것은 물론, 색칠해서 내 맘대로 꾸밀 수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진동시켜 목소리를 내는 성대를 포함해 공기가 오가는 숨길의 일부.박쥐를 통해 꽃
가루
를 옮기는 식물 중에는 오목한 모양의 꽃이 많아요. 위성 접시 안테나처럼 초음파를 한곳으로 모아 박쥐가 꽃의 위치를 잘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지요. 전략 2 환상의 짝꿍이 되어라!전세계 박쥐의 15%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
과학동아
l
201705
‘아름답다’고만 생각할 수 없는 이유는 산림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꽃
가루
를 옮겨 줄 곤충이 다 나오기도 전에 봄꽃이 서둘러 피었다 져버렸다고 생각해 보세요. 조류나 동물의 생존을 위협할 수도 있는 중대한 문제입니다. 또한 개화는 식물이 종자를 얻기 위해 필수로 거치는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05
밖으로 나갔다.유리가 테라스 밑에서 그녀를 기다리고 있었다. 부슬비는 얼마 전부터
가루
눈으로 바뀌어 있었다. 두 사람은 얇은 눈 모자를 쓴 유리의 자가용으로 달려갔다.“랜슬롯 허드슨이란 남자를 알아?”차 안에 들어가 문을 닫으며 유리가 말했다.“몇 시간 전에 호텔에서 만났어. 왜 ... ...
[과학뉴스] 꽃
가루
는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1705
환경의학연구소 클라우디아 트레이들-호프만 소장은 “이번 연구 결과 꽃
가루
와 곰팡이 포자가 좁은 지역에 머문다는 통념이 틀렸음을 입증했다”며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조기 경보 시스템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38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도마뱀의 수는 계속해서 늘어 났어요. 결국 도마뱀은 먹이인 곤충이 부족해져서 꿀과 꽃
가루
까지 먹게 됐지요.놀랍게도 도마뱀은 곤충이나 새보다 약 8배나 정확하게 식물의 수분을 돕고 있었어요. 도마뱀이 주로 같은 꽃을 찾아가기 때문이랍니다.#우와~! 다들 사랑의 배달부로 손색이 없구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