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근삿값을 구할 수 있어요. 배 교사는 올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을 방문했을 때 여러
개
의 동전을 던져 π의 근삿값을 구하는 실험기를 보고 이번 수업을 기획했어요. 이 체험에 대해 배 교사는 “단순한 활동이지만 직접 통계 수치를 만들고 계산하며 확률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고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
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학생들은 언제 ‘실패했다’고 느꼈을지 함께 살펴보시죠. 같은 가지에 혼자 시든 잎카이스트라는 좋은 학교에 있다 보니 졸업한 선배도, 동기들도 모두 우수하다. 좋은 직장,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주최한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이 11월 4일 서울 중구 ‘서울아트시네마’에서
개
최됐다. 올해로 2회를 맞이한 2023 SF스토리 공모전은 독자와 창작자 모두가 SF를 친숙하게 여길 수 있도록 기획된 행사다. 한국과학창의재단 민간과학문화활동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창작자의 문턱을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보이지 않아요. 2023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찍은 사진에는 천왕성의 고리 13
개
중 11
개
가 선명하게 찍혔답니다. 용어 설명음반★ 음악, 소리 등을 녹음해서 다시 들을 수 있게 만든 원형 판이에요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차이나기 때문에 동물의 행동이 달라져요. 그래서 평일과 주말을 구분해서, 동물원이
개
장한 직후 6시간 동안 1시간씩 나누어 대원들이 관찰해 기록할 예정입니다. 그러면 왜 미어캣과 일본원숭이를 조사할까요? 마승애 교수님은 “기존 우동수비대 조사를 통해 정형행동을 확인한 동물원을 선정한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만든 학문적인 틀 안에 있었다”고 말했어요. 학계에서는 h회 이상 인용된 논문의 수가 h
개
이상일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h의 최댓값을 ‘h지수’라고 해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요.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미국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걸 고려하지 않기 위해 46
개
종류의 동전을 사용했다. 참가자를 모집할 때 그는 여러
개
의 조건을 내세웠다. 중요한 두 가지를 꼽으면, 동전이 손바닥 위에 떨어지도록 할 것과 동전 던지는 모든 과정을 녹화할 것이었다. 동전이 손바닥 위에 떨어지지 않고 책상 위 등 다양한 곳에 착지하면 ... ...
[킹앤유] 복잡한 무제도 그래프로 간단히 해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읽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에 대해 알게 됐어요. 오일러는 쾨니히스베르크의 일곱
개
의 다리를 모두 한 번씩만 건너면서 출발 지점으로 되돌아오는 방법이 있는지 알기 위해 문제 상황을 그래프로 나타냈어요. 그리고 그렇게 다리를 건널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 사실을 접한 장해찬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의대 교수를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코로나19 mRNA(메신저 RNA) 백신
개
발을 가능케 한 공로를 인정한 것이다. mRNA 백신은 인체가 외부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방식을 뒤엎는다. 인체는 RNA가 외부에서 들어오면 다양한 염증 사이토카인을 유도해 침입한 RNA를 파괴하고, 단백질을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반드시 여러분의 실생활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만들겠습니다. ❋필자소
개
.김형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2013년 강원대에서 신소재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14년부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따른 특성 상관관계 해석을 기반으로, 금속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