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 입] 조각난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것이라면 모두 지켜봤지. 물론, 호루스의 눈 조각도 자세히 살펴봤어. 호루스의 눈 조각 6개에는 각각을 상징하는 ‘분수’가 있더라. 어떤 분수인지 궁금하면 내 이야기를 따라와!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조각난 호루스의 눈!Part1.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 Part2. 분자는 항상 ... ...
- [꿀꺽! 수학 한 입] 단위분수로 이뤄진 호루스의 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완전함’의 상징이라고 생각해서, 눈 전체를 숫자 ‘1’로 생각했어. 이집트인들은 6개의 조각으로 나뉜 호루스의 눈에 단위분수를 하나씩 배치하고, 이들의 합이 1이 되게 했어. 각 단위분수를 합치면 정말 1이 되는지 볼까? 분수를 더하려면 분모가 서로 같아야 하니까, 분모가 모두 64가 되도록 ... ...
- [똥손 수학체험실] 분수로 만드는 바닷속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것 중 한 칸은 전체의 1/2이에요. 한편, 색종이를 여러 번 접었다 펴서 똑같은 크기의 칸 6개를 만들고, 그중 한 칸을 분수로 나타내면 1/6이에요. 여섯 칸 중 세 칸은 3/6이지요. 그런데, 1/2과 3/6을 비교할 때 더 큰 수는 무엇일까요? 3/6의 분모와 분자가 더 큰 수니까 3/6이 1/2보다 클 것 같지만, ... ...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동양하루살이는 5~6월에 성충이 돼 사나흘 정도 살며 그사이 교미를 하여 2천 개가량 알을 낳아요. 2주 후 알에서 태어난 유충은 1~2년간 유속이 느린 강에서 굴을 파고 살다가 성충이 되고 짝짓기를 위해서 불빛으로 날아듭니다.따라서 하루살이의 대량발생은 해가 지는 대여섯 시경 하루살이 유충의 ... ...
- [JOB터뷰]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PIXAR 애니메이션 이채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문화를 경험하면서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지 배웠는데, 네 개의 원소를 생동감 있게 구현하는 데 있어서 저의 이런 경험들을 많이 담았어요. Q애니메이터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이 있나요?의 클로드처럼 주변에 관심이 많아야 해요. 사람들이 전혀 신경 쓰지 ...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일한 대가로 돈 대신 빵을 받았어. 그런데, 일한 사람은 3명이고 주어진 빵은 1개일 때 한 사람에게 각각 돌아가는 빵의 양은 얼마인지를 숫자로 나타낼 수가 없었어. 그래서 새로운 수인 분수를 만들었지같은 자연수로 나타낼 수 없는 양을 표현하기 위해서야. 당시에는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가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지름의 1/5이지요. 시력 1.0의 비밀‘시력’은 두 개의 점이 가까이 있을 때 이것을 두 개라고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을 말해요. 5m 거리에서 1.5mm 간격을 구분할 수 있을 때의 시력을 1.0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시력을 나타내는 소수는 어떤 원리로 계산하는 걸까요?그런데 만약 5m 거리에서 1.5mm 간격이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지구의 원하는 곳으로 보낼 수 있었습니다. 송신기에는 총 32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어요. 각 안테나에서 방출된 전파가 특정 지점으로 모이면서 더해져, 전파의 세기가 먼 거리의 지구까지 올 수 있을 정도로 커졌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손봉원 박사는 “컴퓨터로 각 ... ...
- 개운하게 목욕하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생수 페트병은 109개나 돼. 대한민국의 인구수는 2023년 기준 5155만 명이니,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생수병이 버려지는지 곱셈을 이용해 구해보자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야를 방해하는 장애물과 마주치는 것으로 드러났어요. 시야 방해물의 개수는 평균 57.8개에 달했지요. 어린이는 위험성에 대한 판단과 인지능력이 아직 성장하는 단계예요. 이 때문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서울디지털재단에서 관찰한 등하굣길의 CCTV 영상을 보면, ... ...
이전3334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