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교수와 IBM연구소의 빅터 밀러가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개발했다. RS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수를 키로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이 높아 스마트카드처럼 정보처리능력이 떨어지는 기기에 적합한 암호방식이다.“풀리지 않는 암호는 없다”심 팀장은 “암호는 어떤 창에도 뚫리지 않는 방패와 어떤 ...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것과는 달리 무게는 눈으로 봐서는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큰 컵에 담긴 우유는 많고 작은 컵에 담긴 우유는 적습니다. 이것은 보기만 해도 알 수 있지요. 그렇지만 똑같은 크기의 공 2개가 있을 때, 부피는 같더라도 무게는 다를 수 있습니다.무게는 지구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야구공과 ...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슈퍼셀(거대 세포) 폭풍’이라고 한다. 토네이도는 이 슈퍼셀의 맨 아랫부분에서 매우 작은 규모로 발생하는 소용돌이 기류다. 토네이도는 미국 중부 평원 지역에서 3~7월에 걸쳐 나타난다. 봄에 주로 남부지역에서 강하게 발달하다가 여름에 접어들면서 점점 북쪽에서 발생하고 세기도 감소한다 ...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집중호우를 100% 정확하게는 예측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날씨는 초기의 매우 작은 차이가 임의 시점부터 급격하게 커지기 때문이다. 수치예보의 초기 값은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상당히 부족한 관측 자료로 구성되므로 초기 값의 부정확성은 항상 존재한다.수치예보는 발생할 확률이 높은 시나리오 ...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것은 큰 성과다. 우주가 팽창할수록 느리게 회전한다는 뜻으로, 상식과도 잘 맞는다. 작은 팽이를 돌릴 때보다 큰 팽이를 돌릴 때 회전 속도가 느린 것과 같은 원리다.끈 이론을 이용하면 팽창뿐만 아니라 비틀림 현상도 연구할 수 있다. 실제 우주에서 볼 수 있지만 입자에는 없는 움직임이다. 특히 ...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움직이는 걸로 만족했다.생기원은 이런 문제를 개량해 구동장치를 EHA라고 불리는 작은 유압식 엑추에이터로 바꾸고, 배터리와 연결해 3시간 동안 움직일 수 있는 하이퍼2를 2010년 개발했다. 하이퍼1에 비해 힘은 조금 약하지만 야외에서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셈이다. 하이퍼 개발 관계자는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관련된 여러 가지 특성을 아는것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대수 문제다음 식의 값보다 작은 정수 중 가장 큰 것을 구하여라. (6점)2011/21² + 2011/23² + 2011/25² + … + 2011/79² 부분분수의 성질을 이용해 주어진 식의 범위를 찾는 이 문제는 일반적인 대수 문제를 응용한 형태다.범위를 찾을 수 있는 부등식, ...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OK! 음파관측소소리를 이용해 백두산 폭발을 알아차릴 수도 있어요. 화산성 지진은 보통 작은 규모의 지진으로, 우리나라처럼 백두산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잘 관측할 수 없어요. 또 백두산이 폭발한다 해도 지진파 관측으로는 지진이 백두산 폭발로 생긴 것인지, 다른 이유 때문에 생긴 것인지 ...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시야가 넓게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날개가 비행기의 무게중심보다 위쪽에 있어서 작은 움직임에도 쉽게 비행기의 자세를 바꿀 수 있다.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비행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고익기는 군용 수송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대표 여객기 보잉747은 저익기 ...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쓰거나 옷을 바꿔 입고, 머리스타일을 바꿔도 말이다. 또 얼굴에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작은 변화를 줘도 장난을 쳤다고 인식할 뿐 다른 얼굴로 생각하지 않는다. 사람은 완전히 얼굴이 바뀌지 않는 이상 웬만큼 성형수술을 한 사람도 같은 사람으로 파악한다.하지만 컴퓨터는 얼굴을 구별하는 걸 ... ...
이전3933943953963973983994004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