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볼 때보다 영화관에서 볼 때 더 무서운 이유가 이런 음향 효과 때문이기도 해요. 집에선
작은
음량으로 소리를 듣지만 영화관에서는 큰 음량으로 듣기 때문에 긴장감이 더 고조되죠.또 지금까지 나오지 않았던 미지의 인물이 등장(u)하면 사람들은 공포를 느낀다고 해요. 살인사건의 범인이거나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사실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는 투명해 보이지만 뭉쳐 있는 경우는 대부분 하얗다.
작은
거품 알갱이가 들어오는 모든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는 모든 빛이 합쳐져 하얗게 보인다.그런데 하얀 바다 거품은 무엇보다 지구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바다거품은 지구에 들어온 ... ...
[수학영재캠프] 다각형의 분할과 조립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 있음을 보여라.(2) 넓이가 같은 임의의 두 다각형 A와 B에 대해, 다각형 A를 유한개의
작은
다각형으로 자른 후 그 조각들을 다시 잘 모아 다각형 B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라.이것으로 원하던 정리를 증명할 수 있었다. 막막해만 보이던 문제가 정사각형을 매개로 하여 멋지게 풀렸다. 정사각형을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구하기’로 정했다. 근삿값을 구하는 것에 대해 탐구하게 된 동기는 조금이라도 오차가
작은
값을 구하는 과정이 재밌게 느껴졌기 때문이다.3. 탐구 과정(생략)4. 탐구 결과 및 느낀 점(생략)5. 참고문헌 : 레온하르트 오일러, ‘대수학 원론’(정종원 학생의 ‘수학 탐구 보고서’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회오리 기둥을 만들었다. 2007년 독일 울름대의 안드레이 소머 박사팀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토네이도’를 만들었다. ‘이글루’라고 이름 붙인 나노결정 지붕(지름 2mm) 아래에서 마이크로토네이도를 발생시켰다.이글루의 아래 공간에는 습기가 많고 위는 온도가 낮아 실제 슈퍼셀과 환경이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방법에서는 현미경과 돋보기 등으로 표면을 살펴보면서 핀셋으로 종이 속에 죽어 있는
작은
벌레 등을 꺼내고, 브러시로 먼지나 표면에 쓸어 있는 곰팡이 등을 털어낸다. 가느다란 노즐로 강한 바람을 불어넣는 에어 브레이시브(공기연마기) 등으로 종이 속까지 털어내기도 한다. 이런 작업은 모두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움직이게 하는 보조날개가 있는데, 이 장치는 오늘날 여객기 꼬리 부분에 수평으로 있는
작은
날개로 발전했다. 각도를 바꿔가며 비행기를 상승 하강시킨다.플라이어 1903이 날 수 있는 최대 속도는 시속 60∼70km에 불과하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보다 느린 셈이다. 날개 면적이 넓고 엔진 출력이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국제 원자력 사고 등급(국제원자력기구)❶0 단계경미한 고장•원자력 발전기 활동의
작은
이상❶ 단계단순 고장•사소한 안전의 문제❷ 단계고장•발전소 근무자들의 방사선 노출 (법정 한계 수치를 넘지 않는 정도)❸ 단계중대한 고장•근무자들의들의 심각한 방사선 노출•예기치 않은 지역의 ... ...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 AM-2011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과학자를 꿈꾸는 사람에게 현미경은 필수 장비다. 하지만 현미경은 막상 사 놓고서 잘 쓰지 않는다. 프레파라트 표본을 만드는 것과 같은 준비 과정이 만만치 않 ... 쓰면 더욱 안정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디노라이트 현미경을 들고, 일반 카메라로는 찍을 수 없는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자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되면 없어진다고 헛발 혹은 ‘가짜 발’이라고도 지칭한다.배다리 끝에는 동그랗거나
작은
갈고리가 달려 있고 발판은 흡착판처럼 끈끈하다. 이 갈고리를 이용해 먹이식물의 줄기를 갈고리로 건 것처럼 꼭 잡는다. 갈고리로 걸고 발판의 흡착판을 붙여 먹이식물에 붙어 있는 애벌레를 떼어 내는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