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사실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는 투명해 보이지만 뭉쳐 있는 경우는 대부분 하얗다.
작은
거품 알갱이가 들어오는 모든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는 모든 빛이 합쳐져 하얗게 보인다.그런데 하얀 바다 거품은 무엇보다 지구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바다거품은 지구에 들어온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구하기’로 정했다. 근삿값을 구하는 것에 대해 탐구하게 된 동기는 조금이라도 오차가
작은
값을 구하는 과정이 재밌게 느껴졌기 때문이다.3. 탐구 과정(생략)4. 탐구 결과 및 느낀 점(생략)5. 참고문헌 : 레온하르트 오일러, ‘대수학 원론’(정종원 학생의 ‘수학 탐구 보고서’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잠드는 해저 호텔상상 속 해저 호텔의 매력은 24시간 바다 속을 볼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작은
야구공에만 맞아도 깨지는 유리가 과연 수압에 견딜 수 있을까?두바이 주메이라 해변의 20m 해저에 지어질 하이드로 폴리스 호텔은 그 답을 비행기에서 찾았다. 두께 18㎝의 플렉시글라스라 불리는 아크릴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런 각각의 집합들이 조화롭게 모여 세상이라는 전체집합을 이룬다는 생각이 좋습니다.
작은
사물에서 출발해 전체를 품으려는 마음의 넓이, 생각의 깊이를 높게 평가했습니다.근삿값처럼성은주(울산여중 3년)근삿값처럼친구들과 서로서로닮으려는 우리근삿값처럼부모님의 기준에맞추려는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슈퍼셀(거대 세포) 폭풍’이라고 한다. 토네이도는 이 슈퍼셀의 맨 아랫부분에서 매우
작은
규모로 발생하는 소용돌이 기류다. 토네이도는 미국 중부 평원 지역에서 3~7월에 걸쳐 나타난다. 봄에 주로 남부지역에서 강하게 발달하다가 여름에 접어들면서 점점 북쪽에서 발생하고 세기도 감소한다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집중호우를 100% 정확하게는 예측할 수 없다. 왜냐하면 날씨는 초기의 매우
작은
차이가 임의 시점부터 급격하게 커지기 때문이다. 수치예보의 초기 값은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상당히 부족한 관측 자료로 구성되므로 초기 값의 부정확성은 항상 존재한다.수치예보는 발생할 확률이 높은 시나리오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함께 준비 중이다.신약과 치료의 표적을 찾다“마이오세베린이나 리버신 같이 크기가
작은
화학분자는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약으로 개발하기 좋습니다.”자연에 있는 수많은 분자 중에서 약을 찾는 것이 바로 신약표적 연구실의 목표다. 얼마 전 연구팀은 싱가폴대에서 받은 화합물을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어떤 일이든 무서울 정도로 집중하고 그 일을 철저히 해낸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들은
작은
그림을 모으면 어떤 그림이 나타나는지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우물 속에 있는 돌멩이를 세고 또 세느라 우물 밖에 어떤 큰 세상이 있는지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그런데 진짜 흥미로운 부분은 따로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탐사하는 데도 폭발을 이용한다. 고출력의 레이저로 달의 표면을 쏘면 일시적으로
작은
폭발이 생겨 표면의 일부가 이온화된다. 이온화된 물질은 시간이 지나면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이 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원소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고유의 파장을 갖는다. 이 파장을 읽으면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회오리 기둥을 만들었다. 2007년 독일 울름대의 안드레이 소머 박사팀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토네이도’를 만들었다. ‘이글루’라고 이름 붙인 나노결정 지붕(지름 2mm) 아래에서 마이크로토네이도를 발생시켰다.이글루의 아래 공간에는 습기가 많고 위는 온도가 낮아 실제 슈퍼셀과 환경이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