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비행과 수영이 모두 가능한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 로버트 우드 교수팀이 이런 로봇을 실제로 개발해
발표
했어요.로버트 우드 교수팀은 ‘코뿔바다오리’라는 새의 움직임에 주목했어요. 코뿔바다오리는 날갯짓의 속도와 각도를 본능적으로 변화시켜 날개에서 발생하는 물과 공기의 흐름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요 ... ...
[가상인터뷰] 바나나로 바이러스 치료제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교수팀이 바나나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사용해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
했어요.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을 수 있는 대표적인 물질 중에 ‘렉틴’이라는 단백질이 있어요. 렉틴은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어 바이러스가 다른 세포에 붙는 것을 막아요. 하지만 렉틴은 치명적인 단점도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015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
됐어. 올해도 8명의 과학자들이 노벨 과학상을 받게 됐지. 이 수상자들은 오는 12월 10일 오후 4시30분에 열리는 노벨상 시상식에 참가할 예정이야. 왜 하필 그날이냐고? 그날이 바로 내가 죽은 날 죽은 시각이거든…. 내가 바로 노벨상을 만든 알프레드 노벨이란다. ... ...
[과학뉴스] 히말라야에는 재채기하는 원숭이가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지역은 지구상에서 생명체가 가장 풍부한 지역 중 하나예요. 세계야생기금은 10월 5일
발표
한 ‘리빙 히말라야 2015년 보고서’를 통해 2009년부터 2014년까지 히말라야 지역에서 211종의 새로운 동식물을 발견했다고 밝혔어요. 이 보고서에서는 211종 중 특이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동식물들을 소개하고 ... ...
세상에 이런 이름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oresara’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어요. 발음 그대로 ‘오래살아’의 의미지요. 당시
발표
한 논문에는 “oresara는 한국어로 ‘장수’를 의미하는 말”이라는 설명이 들어 있답니다.아이고, 웃긴 이름이 너무 많아서 뭘 뽑아야 할지 모르겠군. 게다가 아직 이름없는 생물이 그렇게 많을 줄은 몰랐네 ...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박사님들께 수도 없이 칭찬을 들었단다.드디어 24시간의 탐사가 끝나고 탐사결과가
발표
되는 시간! 이번 탐사로 무려 1011종이나 되는 다양한 생물이 태화강대공원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 특히 ‘노란대주름버섯’은 기존에 태화강 주변에 산다는 것이 알려지지 않았던 종으로, 이번 탐사를 ... ...
PART3. 화성탐사의 역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9월 29일, 미국항공우주국은 화성에서 소금물이 개천처럼 흐르고 있는 증거를 찾았다고
발표
했어요. 이미 화성 극지에 얼음 상태의 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액체 상태의 물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이번 발견은 화성정찰위성이 보내온 고해상도 사진과 스펙트럼을 분석해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006년에 대부분의 고래들도 사람들과 똑같은 부분에 방추뉴런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
됐답니다. 그때부터 몇몇 학자들은 이 방추뉴런이 고래들에게서도 비슷한 역할을 할 것이고, 그게 바로 고래가 똑똑한 비밀이라고 생각하게 됐죠.넌 소랑 비슷한 점이 있다며?맞아요. 최근 미국 하버드대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박테리아를 물리친다?!똥으로 슈퍼 박테리아를 물리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
됐어요. 건강한 사람의 장 속에 살고 있는 세균을 슈퍼 박테리아에 감염된 사람의 장으로 옮기면 병이 낫는다는 거예요. 미국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 에릭 메이머 교 수팀은 항생제로 사라지지 않는 ... ...
수학으로 계산해 새로운 생물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따라 움직여요. 그런데 최근 이걸 수학으로 계산해 세균에 적용한 연구 결과가
발표
됐어요. 한국과학기술원 김재경 교수팀이 생체리듬을 설계하고, 미국 라이스대학 메튜 베넷 교수팀이 이 생체리듬을 따르는 대장균을 만든 거예요.이번 연구는 ‘합성생물학’이라는 개념을 이용했어요.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